"임플란트 없어질까?"...잇몸 아래 '이것' 있어 새 치아 날 수 있다고?

"사람 잇몸 아래 3세대의 '치아 싹'이 있어"...생쥐 시험은 이미 성공

 

기타노 병원이 실험한 생쥐의 치아 사진. 원래 치아(위)에서 새로운 치아가 자라났다(아래). [사진=기타노병원 제공]
치아를 다시 나게 하는 약물이 임상시험에  들어갔다. 생쥐와 족제비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은 이미 성공했다. 이가 빠진 자리에 인공 치아를 이식하는 임플란트가 사라질 날이 올지도 모른다.

일본 오사카 의학연구소 기타노병원 구강외과 과장인 카츠 다카하시 박사팀이 의치와 임플란트의 대안으로 치아 재생 약물을 시험 중인 것으로 보도됐다. 카츠 다카하시 박사는 “파충류와 물고기는 정기적으로 송곳니를 교체하지만 인간을 비롯한 대부분 포유류는 두 세트의 치아만 자란다"며 "사람의 잇몸 아래에는 3세대의 잠자고 있는 싹이 숨겨져 있다”고 말했다.

기타노병원 연구팀은 교토대 병원은 이 잇몸 속 치아의 싹을 돋게 하는 임상시험을 시작했으며, 성인 피험자에게 숨겨진 치아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실험용 약을 투여했다.

연구팀은 생쥐와 흰족제비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USAG-1’이란 단백질을 차단하면 세 번째 싹을 깨울 수 있다면서 다시 자란 동물의 이빨을 촬영한 실험실 사진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난해 발표한 연구에서 “생쥐의 항체 치료는 치아 재생에 효과적이며 인간의 치아 기형을 치료하는 데 돌파구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의료진은 태어날 때부터 6개 이상의 영구치가 빠진 환자들의 치료를 우선시하고 있다. 이 유전질환은 약 0.1%의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평생 씹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일본에서는 입의 넓은 틈을 숨기기 위해 청소년들이 대부분 마스크를 착용하기도 한다. 다카하시 박사는 “이 약은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면서 ”이 약은 주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며 2030년에는 사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런던 퀸메리대 치의학 교수인 앙그레이 강은 “다카하시의 연구는 흥미롭고 추구할 가치가 있다”면서 “USAG-1과 거의 동일한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항체 약물이 이미 골다공증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홍콩대 청페이 장 교수는 “인간이 세 번째 치아를 생산할 수 있는 잠복 치아 싹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은 혁명적이면서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면서 “동물에서 관찰된 결과가 항상 인간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김성훈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