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질삐질… 긴장하고 당황하면 땀나는 이유
무더운 여름 끈적 끈적한 땀으로부터 '해방'되길 기대하는 사람이 많다. 날씨가 덥지 않은데도 땀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있다. 심리적인 이유로 땀을 흘리는 사람들이다.
땀은 대체로 온도 상승이 주 원인이다. 날씨가 덥거나 운동으로 체온이 올라가면 땀을 흘리게 된다. 많은 사람들 앞에서 발표를 해야 한다거나 번지점프대 위에 서있다면 손바닥이 땀으로 흥건해지거나 이마에 송글송글 땀이 맺히는 사람이 있다. 심리적이 이유다.
호주 울런공대 연구팀이 긴장되는 상황을 연출해 땀을 흘리도록 유도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20년 이상 땀 연구를 해오고 있는 이 대학의 나이젤 테일러 박사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사칙원산을 활용해 땀을 흘리도록 만들었다”고 말했다.
실험 참가자들은 사칙연산 능력이 뛰어나지도 뒤처지지도 않는 보통의 실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은 약간 복잡한 문제가 주어졌을 때 땀을 흘리기 시작했다. 왜 이처럼 당황하거나 긴장하면 땀이 나는 걸까.
땀은 열과 깊은 연관관계에 놓여있다. 운동을 하고 나면 생리적인 냉각 기능이 작동해 열을 배출할 목적으로 땀이 난다. 이럴 때 심리적인 요인도 함께 작용할 수 있다. 가령 다른 사람과 함께 운동할 때 경쟁심이 생긴다면 이러한 감정도 땀을 촉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우리 몸에는 아포크린과 에크린이라는 두 종류의 땀샘이 있는데 아포크린은 대체로 겨드랑이와 생식기에 위치하며 단백질과 지방질로 구성된 끈적끈적하고 걸쭉한 땀을 생성한다. 반면 에크린은 몸 전체에 분포해 있으며 물과 소금으로 구성돼 있다. 과학자들은 에크린은 열을 식히기 위해, 아포크린은 정신적인 스트레스에 기인해 땀을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연구팀은 두 가지 타입의 땀이 모두 에크린에서 생성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 아세틸콜린이라고 불리는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제어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연구팀은 이를 진화론적인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고 했다. 긴장할 때 땀이 나는 것은 포식자들을 피하는 수단이 된다는 것이다. 땀으로 미끄러워진 몸을 포식자들이 잡기 어려워진다는 논리다.
심리적인 이유로 나는 땀은 다른 사람을 돕는 수단이 된다는 주장도 있다. 미국의 한 연구팀이 트레드밀 위에서 뛴 사람들의 땀과 스카이다이빙을 한 사람들의 땀을 수집해 실험한 결과다. 그 결과 트레드밀 위에서 뛴 사람들의 땀 냄새를 맡았을 때는 실험참 가자들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지만, 스카이다이빙을 한 사람들의 땀 냄새를 맡을 때는 '경계'와 연관이 있는 뇌 영역이 활성화됐다. 땀 냄새만으로 다른 사람이 위험에 처했다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다양한 이유로 발생하는 신경증적인 땀은 어떻게 제어할 수 있을까. 대부분 신경과민에서 비롯된다. 스스로 최악의 시나리오를 상상해 부정적인 방향으로 상황을 확대 해석하는데서 비롯될 가능성이 높다. 지레 겁을 먹거나 걱정하는 습관을 개선면 이런 땀을 줄일 수 있다. 일상에 큰 불편이 있다면 병원에서 적절한 다한증 치료를 받는 방법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