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추후종인대골화증

정의

후종인대란 척추뼈의 뒷부분에 붙은 인대를 말한다. 그런데 척추뼈의뒤에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신경관(긴 튜브)이 있다. 따라서 후종인대가 골화(뼈처럼 단단해지고 굵어짐)된다면 그 뒤의 신경관을 지나는 신경이 압박되게 된다.

 

이로 인해 나타나는 신경증상을 후종인대골화증이라 하며 이는 큰 범위에서 경추의 퇴행성질환에 속한다. 이러한 경추의 여러구조에 따른 퇴행성변화는 경추 추간판(디스크), 추간관절, 후종 인대의 퇴행성 변화(OPLL), 황색인대비후 등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원인

후종인대 골화증은 서양인에게서는 드물며, 한국, 일본 등 극동 지방의 동양인에게서 자주 발생한다. 그 원인은 정확히밝혀지지 않았지만, 동양계에 호발하는 것으로 보아 유전적, 인종적요소가 관여하여 후종인대의 변성을 촉진함으로써 후종인대의 골화가 점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당뇨병과의연광성이 보고되고 있다. 그 외 강직성 척추염, 미만성 골과잉증 등의 질환에서 자주 발견되고 있다.

 

골화된 후종인대는 인접한 인대의 변성을 촉진하므로 대게 2~5개의척추뼈에 걸쳐 난다. 40대 이후의 중년, 노년 연령층에잘 발생하며 남자에게 많다.

증상

후종인대 골화증은 대게 경추(목뼈)에서 발생하며 간혹 흉추(등뼈)에서도발생할 수 있다. 증상은 기본적인 목 뻣뻣함, 운동장애, 상지부 저림 증상 등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이 심해지면 상지에서의 감각을 담당하는 감각 신경과 뇌에서 상지 및 하지로의 운동을 관장하는 운동 신경및 배뇨, 배변, 성기능 등 자율신경을 제어하는 신경 등이장애를 받아서 상지의 감각 이상, 보행 장애(다리가 뻣뻣해보행시 힘의 조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음), 장기간의 보행시 허벅지 부위가 뻑뻑하면서 죄어오는 느낌이오는 증상, 하지만 근력(근육의 힘)저하 및 배뇨, 배변 장애 등도 나타날 수 있다.

 

대부분 환자들은 경미한 경부 동통 및 수부의 감각 이상만을 호소하는 척수 및 신경근 압박 정도에 따라 임상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신경근이 압박되면 해당 신경 지배부위에 감각 둔마 및 저린 증상이나타나며, 척수 압박이 가중되면 느리고 부자연스러운 손놀림, 보행장애등 척수증 증상이 나타난다. 흔히 외상에 의해 초기 증상이 유발되며 척추관 협착이 심한 경우에는 경미한외상으로도 사지 마비가 일어날 수 있다.

진단

단순 방서선 촬영에서 후종인대가 골화되어 다른 척추뼈와 같은 흰색으로 보인다. 여러 개의 척추뼈에 걸쳐 이어져 있을 경우 연속형, 떨어져 따로따로존재할 경우를 분절형이라고 하며 이 두 종류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를 혼합형이라고 한다.

 

컴퓨터 단층촬영(CT)상 신경관 내로 골화된 인대가 두꺼워진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골화된 인대에 의한 척수신경이 압박되어 나타나는 신경변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핵 자기 공명영상(MRI)를 시행한다. 보조적으로 신경손상의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근전도, 유발 전위 검사, 방광 기능검사등을 시행할 수 있다.

치료

척수신경의 압박이 심할 경우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을 시행하더라도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신경변성이 심해지기 전에 척추궁절제술 등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수술은 골화된 후종인대를 척추체와 함께 제거하고 척추 유합술으르 시행하는 방법과, 척추관을 성형술 등으로 확장시켜서 상대적으로 척수신경의 압박 정도를 감소시키는 후방 접근 방법 등을 많이 사용한다.

예방

대개의 퇴행성 척추 질환과 마찬가지로 과도한 목 운동을 삼가고 목의 굴곡이 심해지는 자세(엎드려 책보기, 쇼파에 누워 TV 보기, 습관적인 목 돌리기나 목 좌우 꺾기 등)을 피하는 것이 좋다. 특히 목 돌리기는 목 근육이 일련으로 수축, 이완하는 과정에서 잠시 목이 편안해진 느낌을 가질 수 있지만, 목 뼈의 경우에는 우리가 아는 맷돌운동을 통해 뼈와 디스크를 갈아내는 효과가 있으므로 경추골의 비후 및 후골인대 골화 등 퇴행성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코메디닷컴 관리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