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비알콜성 지방간 환자, 급성심정지 위험 최대 55% 높아

최종일 고려대 안암병원 교수팀 연구 결과 발표

20·30대 고도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환자는 급성심정지 위험이 급증한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20·30대 젊은 성인들에게서 비알콜성 지방간이 있으면 급성 심정지 위험이 최대 55% 상승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비알콜성 지방간질환(대사이상 지방간질환, MASLD)은 전체 인구의 약 25%에서 발생할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간뿐만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이나 사망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간 젊은 성인에서는 급성심정지의 위험인자가 정립되지 않아 연구가 필요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최종일 교수 연구팀(순환기내과 최종일, 정주희 교수, 소화기내과 임선영 교수, 숭실대학교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검진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09~2012년 검진을 받은 20~39세 성인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체질량지수(BMI), 허리둘레, 감마글루타민전이효소(GGT), 중성지방 수치를 통해 지방간 지수를 계산해 지방간의 유무를 파악했다.

대사 이상 지방간 질환은 지방간 지수가 30미만일 때 정상, 60이상일 때 대사 이상 지방간 질환이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연구팀이 약 539만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5.5%가 중등도(30이상~60미만), 10%가 고도(60이상)의 지방간 지수를 보였다.

또한 대상자들의 평균 9.4년간의 데이터를 추적연구한 결과, 지방간 지수가 중등도인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급성심정지 위험도가 15% 높아졌다. 지방간 지수가 고도인 그룹에서는 위험도가 55% 급격히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높은 상관관계가 규명됐다.

최종일 교수는 “20~30대 젊은 성인 10명 중에 1명이 고도의 지방간 지수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의 급성심정지 위험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며 “기본적으로 젊은 성인이 노인보다 급성심장사 발생이 훨씬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젊은 성인에서의 지방간과 관련한 급사는 중요한 보건학적 문제로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지방간 질환이 심정지의 공통 위험인자인 대사증후군과 심혈관질환 발병 및 진행의 위험성을 높여 급성심정지 위험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지방간 질환이 있다면 해당 질환과 더불어 대사 및 심혈관질환과 관련해 추적·관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 논문은 국제 학술지 《Metabolism - Clinical and Experimental》에 게재되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재원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