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너무 많고 무섭다”... 53세 배우 섀넌 도허티 끝내 사망

국내 유방암 매년 3만명 육박... 50~60대가 절반

유방암 투병 중이던 53세 미국 배우 섀넌 도허티가 14일(현지시간) 끝내 세상을 떠났다. 1990년대 드라마 ‘베벌리힐스의 아이들’로 한국 팬들에게도 친숙한 배우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유방암 투병 중이던 53세 미국 배우 섀넌 도허티가 14일(현지시간) 끝내 세상을 떠났다. 1990년대 드라마 ‘베벌리힐스의 아이들’로 한국 팬들에게도 친숙한 배우다. 그는 유방암과 오래 싸워왔다. 2015년 유방암 진단을 받은 뒤 완치의 가능성을 보였으나 2020년 암이 재발했다. 지난해 암이 뇌로 전이되었으나 지난 8일 팟캐스트에 암 투병기를 올리는 등 삶의 의욕을 불태웠다.

국내 여성 유방암 매년 3만명 육박... “왜 이리 많나?” 50~60대가 절반

유방암은 우리나라에서 크게 늘고 있는 암이다. 2023년 12월 발표 보건복지부-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여성 유방암은 2021년에만 2만 8720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50~60대 환자가 절반이다. 40대 29.8%, 50대 29.3%, 60대 20.7%의 순이었다. 갱년기 여성들은 유방암에도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일찍 발견하면 유방 보존도 가능하나 늦게 알아채면 다른 부위로 전이되어 생명까지 위태로워 진다.

가슴 멍울 꼭 살피세요”... 유방촬영도 정기적으로 해야

유방암 초기에는 대부분 아무런 증상이 없다. 가장 흔한 증상은 가슴 멍울이 만져지는 것인데 통증은 거의 없다. 이를 알아채지 못해 암이 더 진행되면 유방뿐만 아니라 겨드랑이에서도 덩어리가 만져질 수 있다. 유방암은 자가 검진이 중요하다. 평소 집에서 거울을 보며 자신의 유방을 자주 만져보고 살피는 게 좋다. 40세~69세의 여성은 2년 간격으로 유방촬영을 하는 게 안전하다.

일생에서 배란기 긴 경우... 최근 비만, 음주 관련성 증가

유방암을 일으키는 위험 요인은 빠른 초경이나 늦은 폐경 등 일생에서 배란기가 긴 경우를 들 수 있다. 폐경 후의 장기적인 호르몬 치료, 모유 수유를 하지 않거나 첫 출산 연령이 늦은 것도 위험 요인이다. 비만, 음주, 방사선 노출, 가족력 등도 위험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최근 고열량-고지방 등 비만, 음주 관련성이 커지고 있어 식습관도 조심해야 한다.

유전도 큰 영향... 유방암, 자궁내막암, 대장암 같은 유전자 공유

유방암은 유전도 큰 영향을 미친다. 어머니나 자매가 유방암을 앓았다면 본인도 유전자 검사를 하는 게 좋다. 특히 유방암, 자궁내막암, 대장암은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 및 변화를 공유하는 경향이 있어 유방암을 앓았던 여성이 다시 난소암, 대장암을 앓는 경우가 있다. 어머니나 언니, 동생이 유방암, 난소암을 앓은 경우 유전자의 변이 가능성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BRCA 유전자는 유방암, 난소암과의 관계가 확실한 유전자다. 유전적 소인이 의심될 때는 전문의와 상의하여 유전자 검사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무엇보다 정기 검진을 철저히 받아야 한다. 암에 걸리면 최소 5년은 정기 검진을 하는 등 재발에 바짝 신경 써야 한다. 완치 판정을 받았어도 다른 암의 발병 위험이 있기 때문에 식습관, 운동으로 생활 습관을 바꿔야 한다.

    김용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2
    댓글 쓰기
    • hik*** 2024-07-16 17:03:40

      좋은정보 입니다.감사합니다.

      답글0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 ose*** 2024-07-15 17:02:42

      엉터리,개 돌팔이 의사놈들이 인터넷 판을 장악하고 있으니 전세계인의 건강이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다. 유방암은 유전도,전이도 안 되는 것이고,원인이 무엇인지를 알면 간단히 치유된다. 가만히 놔둬도 안 죽는 유방암 걸려 의사놈 한테 찾아가서 독극물 항암제 수십회 맞고 어처구니 없이 목숨을 잃는 측은한 환자들이 애처로울 뿐.

      답글0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1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