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단체도 교수들 집단휴진 비판… “벼랑 끝 환자 등 떠미는 일”

인의협 "의사-환자·시민 간 신뢰 악영향"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소재 서울대병원 본관 1층에 의대 교수의 휴진 안내문(오른쪽)과 노조의 휴진 반대 대자보가 나란히 걸려있다. 사진=최지현 기자.

정부의 의료개혁 정책에 반발한 의료계의 집단 휴진에 일부 의사단체도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벼랑 끝에 놓인 환자들의 등을 떠미는 행위라는 지적이다.

17일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인의협)는 “의대 교수들의 진료 중단은 벼랑 끝에 놓인 환자들의 등을 떠미는 행위”라며 성명을 발표했다. 인의협은 “일부 의대 교수들이 정부와 전공의 간 중재자 역할을 포기하고 의사 증원 반대 투쟁에 앞장서는 현 상황에 심각한 우려를 표하며 이에 반대함을 분명히 한다”고 했다.

이는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강남센터 등이 이날 무기한 휴진에 돌입한 것을 비판한 것이다.

인의협은 “시민들이 의대 교수들에게 바라는 것은 전공의 지키기나 진료 중단이 아니라, 심각한 의료공백 상황을 정상화하기 위한 역할을 다하는 것”이라며 “교수들의 휴진이 장차 의사와 환자 및 시민 간의 신뢰 관계에 미칠 악영향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안 없이 의대 증원 전면 백지화와 원점 재논의를 다시 요구하며 벌이는 집단휴진 역시 환자들의 불편과 고통만 더 크게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인의협은 정부에 대한 비판 입장도 내놨다. 성명은 “4개월째를 맞고 있는 의료공백으로 응급 의료 사각지대는 점점 더 커지는데, 별다른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어 우려스럽다”면서 “암 환자와 중증 환자의 진단·진료 지연, 응급실 뺑뺑이가 매우 심각한 상황이지만, 윤석열 정부는 ‘의료대란은 없다’는 말만 계속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안적 논의기구도 제안했다. 인의협은 “의사인력 정책 결정 권한은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의 몫”이라며 “의료개혁특위를 해체하고 시민사회, 건강보험 가입자 대표를 주체로 포괄하는 논의기구를 통해 진정한 의료개혁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닥터콘서트
    최지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1
    댓글 쓰기
    • fox*** 2024-06-18 19:22:05

      시작은 정부가했는데 ㅋ 행동하는 의사를 욕하나

      답글0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