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오늘 휴진 돌입…“129로 환자 피해 신고하세요”

교수 절반 가량 휴진 참여...정부, 중증 응급질환별 순환당직제 실시

서울대병원 집단휴진을 하루 앞둔 16일 병원 정문 앞으로 한 환자가 지나가고 있다. [사진=뉴스1]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다. 정부는 대학병원장들에게 교수 집단 휴직으로 병원에 손실이 발생하면 구상권 청구를 검토하라고 요청했다. 또한 진료 공백을 줄이기 위해 이날부터 전국 단위의 중증응급질환별 순환당직제를 실시한다,

서울의대 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서울대의대 비대위)는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강남센터 교수 529명이 이날부터 전면 휴진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529명은 진료에 참여하는 전체 교수(967명)의 54.7%에 해당한다. 수술장 가동률은 기존 62.7%에서 33.5%로 떨어질 전망이다.

서울의대 비대위는 이날 오전 서울대 의대에서 무기한 휴진 시작을 알리는 집회를 열고, 오후 1시에 ‘전문가 집단의 죽음’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연다.

다만, 서울의대 비대위는 “휴진 중에도 진료가 꼭 필요한 중증·희귀질환자 진료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한의사협회(의협)도 18일 집단 휴진을 예고한 상태다. 이에 정부는 비상진료체계를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의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전날 회의 후 “골든타임(최적기) 내 치료해야 하는 환자 진료를 위해 17일부터 ‘중증 응급질환별 전국 단위 순환 당직제’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급성대동맥증후군과 소아 급성복부질환, 산과 응급질환에 신속 대처하기 위해 수도권·충청권·전라권·경상권 등 4개 광역별로 매일 최소 1개 이상의 당직 기관을 편성하고, 야간과 휴일 응급상황에도 대비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의사 집단행동으로) 피해를 본 환자는 ‘129’에 피해 사례를 신고할 수 있고, 신고한 내용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정부는 각 병원장에게 교수들의 집단 진료 거부에 대한 불허를 요청했고, 진료 거부 장기화로 병원에 손실이 발생하면 구상권 청구를 검토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닥터콘서트
    최지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