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사람 참 품격 있어”라는 말 듣고 싶다면…이렇게 행동하라

말보다 많은 것을 전달하는 비언어적 단서

누군가와 대화를 할 때 우리는 몸짓, 손짓, 표정 등 말 이외의 것들로 그 사람에 대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누군가와 대화를 할 때 우리는 몸짓, 손짓, 표정 등 말 이외의 것들로 그 사람에 대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자신감 있는 사람인지, 지금 긴장을 한 상태인지, 혹은 세련된 분위기를 풍기는 사람인지까지 말이다.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운 움직임과 제스처를 통해 미묘하게 전달되는 비언어적 신호를 올바르게 사용하면 원하는 모습을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 중에서 품격과 세련미를 내보이고 싶을 때 도움이 되는 몸짓 언어를 호주 대인관계 전문 출판 미디어 ‘핵스피릿(Hack Spirit)’에서 소개한 내용이다.

1.  자세의 힘

바른 자세는 신체 건강만을 위한 게 아니다. 어깨를 뒤로 젖히고 꼿꼿이 선 자세는 자신감을 보여준다. 이런 사람과는 대화를 나누기 전 자세만 보고도 여유 있는 사람임을 알 수 있다. 긴장을 풀고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인위적으로 포즈를 취하려고 하면 오히려 경직되어 부자연스러워 보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2.  눈맞춤의 기술

눈을 맞추는 행동은 상대방과의 대화에 집중하고 있으며 진심으로 관심이 있음을 보여준다. 주변의 산만함에도 내가 말을 할 때 상대가 눈을 맞춘다면 스스로가 중요한 사람처럼 느껴지고 상대방의 세련된 모습이 돋보인다. 중요한 건 균형을 잘 잡아야 한단 점이다. 너무 뚫어지게 쳐다보지 않아야 하며, 그렇다고 너무 자주 시선을 돌려 무관심한 것처럼 보이지 않아야 한다. 경험칙에 의하면 대화의 60~70% 정도로 시선을 맞추는 게 좋다.

3. 우아한 손짓

의사소통을 할 때 손짓을 더하면 요점을 강조하고, 간절함을 표현하며, 공감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세련된 모습을 보여줄 수도 있다. 가령, 손을 편 제스처는 솔직함과 환영의 의미로 인식될 수 있다. 이는 신뢰와 친밀감을 형성해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는 데 도움이 된다. 반면, 폐쇄적이거나 공격적인 제스처는 강압적이거나 대립하려는 모습으로 비칠 수 있다. 따라서 대화할 때는 손동작에도 주의를 기울이도록 한다. 손은 전달하려는 바를 방해하는 게 아닌 말을 보완하는 용도로 사용해야 한다. 단, 너무 과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자신감 있는 걸음걸이

걸음걸이도 그 사람에 대해 많은 것을 말해줄 수 있다. 등을 곧게 펴고, 고개를 높이 들고, 침착하게 걷는 모습은 자신감과 차분함, 우아함을 느끼게 한다. 거드름 부리거나 서두르지 말고, 그저 빨리 걷거나 큰 보폭으로 걷는 게 아닌 여유로우면서 결단력 있는 모습으로 걸어보라. 사람들로 가득 찬 방에 들어가든 혼자 길을 걷든, 걸음걸이는 말없이도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보여준다는 걸 명심하고 이를 활용해보라.

5.  상대방의 몸짓 따라하기

다른 사람의 제스처, 표정, 어조 등을 미묘하게 따라하는 행동은 친밀감과 유대감을 만들어낼 수 있다. 올바르게 사용할 경우 상대방에게 그의 말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으며, 공감하고, 감정을 이해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중요한 건 미묘하고 자연스러워야 한단 점이다. 억지로 따라 한다든가 과하면 진실되지 않게 느껴지고 심지어 계산적으로도 보일 수도 있다.

6.  타인의 공간에 대한 존중

상대방의 공간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건 세련된 모습을 보여준다. 다른 사람이 편안함을 느끼는 공간과 경계를 알고 배려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다른 사람이 너무 가까이 다가와 불편하고 당황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반면, 서로 존중할 수 있는 거리를 유지하면 편안한 마음으로 대할 수 있게 된다. 모든 사람에게는 자신만의 경계선이 있음을 이해하고 존중하도록 한다.

7.  차분하고 침착한 표정

얼굴 표정은 감정을 드러내는 창이다. 차분하고 침착한 표정은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도 세련되고 절제된 분위기를 전달한다. 심호흡을 하고 의식적으로 얼굴 근육을 부드럽게 하면 차분하고 침착한 태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작지만 강력하게 품위와 세련미를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이다.

8.  침묵은 금

침묵은 냉담함이나 무관심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 언제 말하고 언제 들어야 하는지를 아는 것이다. 말할 때보다는 이야기를 들어줄 때 사람들은 자신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조용히 들어주는 모습이 존중하고 이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말을 할 때도 적절한 순간에 잠시 멈추면 말에 무게를 더하고 요점을 강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9.  진실된 미소의 힘

미소는 비언어적 표현 중에서도 가장 강력하다. 진심이 담긴 미소는 얼굴을 환하게 밝혀 따뜻하고 매력적인 분위기를 조성해 상대방이 경계심을 풀고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진정성이 핵심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진정한 미소는 대화의 분위기를 밝혀주지만, 억지 미소나 가짜 미소는 기만적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10. 핵심은 일관성

몸짓을 통해 품격과 세련미를 전달할 때는 일관성이 중요하다. 필요할 때 하나씩 사용하는 게 아니라 일상 속에 녹여내야 한다. 자세부터 표정까지, 모든 비언어적 요소가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이미지와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런 모습은 단순히 연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그런 모습을 가진 사람임을 보여준다.

닥터콘서트
    지해미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