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새 105배 늘어난 ‘이 병’…기침 안 멈추고 ‘흡’ 소리 난다면?

질병청 "1세 미만 예방 접종 최선...아이 돌보는 사람도 2주 전 접종해야"

백일해 확산세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이 병은 보르데텔라 백일해균 감염으로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으로 멈추지 않는 기침, ‘흡’ 하는 소리, 발작·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무려 100일동안 기침을 한다는 ‘백일해’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 보르데텔라 백일해균 감염으로 발생하는 이 호흡기 질환은 기침이 멈추지 않고, ‘흡’ 하는 소리를 내거나 발작·구토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7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백일해 환자는 1365명으로, 지난해(13명) 대비 105배, 최근 10년간 가장 유행했던 2018년(203명)과 비교 6.7배 급증했다.

연령별로는 13~19세가 49.6%(617명)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7~12세가 37.5%(512명)으로 소아청소년이 전체 87.1%(1129명)을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남이 39.8%(392명), 경기 17.4%(143명), 부산 8.0%(109명), 경북 6.6%(90명) 순으로 많았다.

백일해 유병률이 급증한 이유로 전 세계적인 이 병 유행 추세와 국내 해외여행 증가가 맞물린 이유가 유력하다. 미국에서는 지난달 25일 기준 4864명이 발생해 전년도 동 기간(1746명) 대비 약 2.8배가 증가했다. 중국에서는 지난 4월 9만1272명이 발병해 3월(2만7078명) 대비 약 3.4배가 증가하고 올해 이 병으로 20명이 사망했다.

초기에 기침이 점차 심해지고 심해지면 끈끈한 가래 나오기도 

백일해에 감염되면 초기엔 △콧물 △결막염 △눈물 △기침 △발열 등의 가벼운 상기도 감염 증상이 나타나다가 기침이 점차 심해진다. 심한 기침 끝에는 구토가 동반되거나 끈끈한 가래가 나오기도 한다.

중기에 접어들면 △무호흡 △청색증(피부가 파란색으로 변하는) △코출혈 △경막하 출혈 △하안검 부종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회복기에 이르면 기침의 정도와 횟수 그리고 구토가 점차 감소하고 이러한 증상은 1~2주 정도 계속된다.

백일해는 사실 이전에도 유행했던 병이며, 유병률이 늘었다고 해서 이전보다 위험할 정도는 아니다. 정재훈 가천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현재 코로나19 거리두기가 완화되고 유병이 뜸했던 유행성 감염병들이 다시 강경하게 유행 중이다”며 “장기적인 관점으로 예전보다 위험한 정도는 아니고 예방 접종도 많이 이뤄져 유행하더라도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이어 “(시간이 지났음에도) 기침이 멎지 않고 지속되거나, 심한 기침이 계속돼 숨쉬기가 어려워 진다면 내원을 고려해야 한다”며 “일반적으로 항생제를 처방받아 먹고, 보존치료를 꾸준히 해준다면 빠르게 해결된다”고 덧붙였다.

백일해를 예방하기 위해선 영유아기 백신 접종이 중요하다. 우리나라는 이 병 예방 접종률은 1세 97.3%(DTaP 3차), 초등학교 입학생 96.8%(DTaP 5차)로 주요 선진국보다 높다. 다만 환자 수가 지속 증가할 시 감염으로 인한 중증 합병증 또는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질병청은 백일해에 감염돼 주변인에게 전파할 가능성이 높은 사람, 총 6회 예방접종을 완료하지 않은 사람에게 신속한 예방 접종을 당부했다. 또한 아이를 돌보는 조부모, 보육시설 근무자 등에게도 아이와 접촉하기 최소 2주 전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펜데믹 기간 중 백일해 유행이 없었던 점과 다수 국가에서 예방접종률 감소, 해외 교류의 증가 등으로 당분간 유행이 지속될 것”이라며 “감염 시 중증 진행 가능성이 높은 1세 미만 영아 대상 적기 접종(생후 2·4·6개월)이 중요하고, 15~18개월, 4~6세, 11-12세의 추가 접종(4~6차)을 놓치지 말 것”이라고 강조했다.

질병관리청이 제안하는 백일해 예방법

1. 예방접종 받기

2. 발열 및 호흡기 증상이 있을 시 내원해 진료받기

3. 올바른 손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외출 후, 식사 전·후, 코를 풀거나 기침·재채기 후, 용변 후 등

4. 기침 예절 실천하기
–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5.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만지지 않기

닥터콘서트
    임종언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