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창원병원, “수면다원검사 AI 자동판독” 개발 착수

삼성창원병원 이비인후과 최우리 교수 연구팀이 수면다원검사를 AI로 자동 판독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최 교수는 5일 “국립창원대 전자공학과 진교홍 교수 연구팀과 AI(인공지능) 기반 수면 단계를 자동으로 판독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를 추진하는 산학연 공동연구를 시작한다”고 했다. 이 연구엔 신경생리검사실 서준혁, 전병구, 신규민, 박동욱 임상병리사도 참여한다.

[사진=삼성창원병원]
사람의 잠은 크게 각성, 얕은 수면, 렘(REM, Rapid Eye Movements) 수면, 깊은 수면 등 진행 과정에 따라 몇가지 단계로 분류된다. 우리 몸은 이를 순환하는 사이클을 통해 건강한 신체 리듬을 되찾는데, 이 사이클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수면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면 단계는 수면 관련 질환 진단 및 수면의 질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병원에서 수면다원검사를 하는 이유다.

하지만 이를 파악하기 위해선 의료진이 직접 6~8시간 정도 사람 생체 신호를 판독해야 하는 만큼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주관적인 평가가 개입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삼성창원병원과 창원대학교 공동연구팀은 오는 6월부터 12월까지 7개월간 ‘수면다원검사 데이터를 활용한 자동 수면 단계 판독 기술 및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한 연구를 해보는 것이다.

최우리 교수는 “AI를 이용한 자동화 판독시스템을 통해 판독 소요 시간을 30분 이내로 단축하고, 의료진 간 수면 결과 판독 일치율을 90% 이상으로 높이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윤성철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