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량 적은 비만 환자, 걸려들기 쉬운 악순환은?
근지방증 위험 높아져
근감소성 비만 환자는 근육의 질도 저하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근감소성 비만은 노화와 신체활동 감소의 영향으로 근육의 양과 기능은 떨어지고 지방량이 늘어나는 것을 말한다.
서울아산병원 연구팀이 약 1만3000명의 건강검진 결과를 분석해 근감소성 비만 환자는 ‘근지방증(근육에 지방이 축적되는 것)’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미 여러 연구를 통해 근지방증과 당뇨병, 비알콜성 지방간, 심혈관질환 등의 연관성이 입증된 바 있다. 이번 연구로 근감소성 비만 환자의 근지방증 위험이 높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지며 근육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게 됐다.
연구팀은 2012년과 2013년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20세 이상 성인 가운데 간이나 심혈관 등에 질환 발생 이력이 없는 1만 3,612명의 복부 CT 영상을 분석했다.
근지방증을 진단하기 위해 분석 대상자들의 복부 근육을 건강한 근육과 건강하지 않은 근육으로 나눈 다음, 전체 근육에서 건강한 근육이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해 ‘좋은 근육량 지표’를 산출했다. 좋은 근육량 지표가 가장 낮은 4분위(남성 73.56% 이하, 여성 66.97% 이하)에 속하면 근지방증이 있는 것으로 간주했다.
근감소증은 골격근량을 체질량지수(BMI)로 조정한 값을 기준(남성 0.789 미만, 여성 0.512 미만)으로 판단했으며, 비만은 체질량지수가 25kg/m2 이상인 경우로 정의했다. 근감소증이 동반된 비만 환자를 근감소성 비만으로 간주했다.
분석 결과 근감소증이나 비만이 없는 정상 그룹(9353명)에서는 근지방증이 있는 환자가 17.9%였던 반면, 근감소성 비만 그룹(310명)에서는 54.2%였다. 정상 그룹에서 근지방증이 발생할 위험을 1로 보았을 때, 근감소성 비만 그룹에서 근지방증이 생길 위험은 3.7로 약 4배가 높았다.
근감소성 비만은 지방 독성, 만성 염증, 인슐린 저항성 등을 유발해 정상 근육의 양과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연구팀은 근지방증이 근감소성 비만의 진행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대사 건강을 위해서는 내장지방을 감량하는 것뿐만 아니라 근육의 양과 질을 함께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질 좋은 근육을 늘리기 위해서는 유산소 운동과 더불어 근력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개인 몸 상태에 따른 적절한 비율과 강도로 운동할 것을 권장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비만학회의 국제 학술지 ‘비만(Obesity)’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