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반토막…韓 필수의료 ‘최대 위기’ 지역은?
지역 병원·유관 기관 머리 맞대 고심
지방 의료인프라 위기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일부 지역은 두드러지게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강원도가 서울과 비슷한 수준의 보건의료 인프라를 갖추면 연간 132명의 생명을 더 살릴 수 있다. 응급, 외상, 심뇌혈관질환,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의료 서비스는 시간과 비용의 영향을 많이 받아 지역 격차가 극명하게 드러난다. 잇따른 의료 인력 이탈로 의료 체계를 유지하는 것조차 쉽지 않다.
◆위기의 강원 의료… 지역 의료계, 한 자리에 모여
27일 저녁 강릉 씨마크호텔에서 강원 지역 의료기관 간담회가 강릉아산병원 주관으로 열렸다. 강릉아산병원, 속초의료원, 삼척의료원 등의 병원장과 강원도의사회, 강원도 보건체육국 등 유관 기관 관계자들도 참석했다. 최근 강원도의 의료인력 이탈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전하고 대책을 논의했다.
지역 의료계는 지자체에서 나서 상생을 주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모았다. 강원도의사회 김택우 회장은 “사명감만으로 지방에 와서 근무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무리”라며 “지역가산수가제도 등 지자체와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릉아산병원 유창식 원장도 “의료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은 결국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해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라며 지역 의료계 발전을 위한 선순환 구조를 정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승기 강원도보건체육국장은 “공공·민간병원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향후 보건정책 수립에 반영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도 지역 의료계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같이 성장하는’ 기반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논의가 이어졌다.
◆150만 인구에 의사는 서울 ‘절반’…이탈 이어져
지난해 기준 강원도의 인구 천 명당 의료기관 종사 의사 수는 2.7명이었다. 서울(4.8명)의 절반을 조금 넘는 수치다. 반면 치료가능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39.4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치료가능 사망률이란 ‘제대로 치료했다면 살릴 수 있었던 죽음’을 뜻한다.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사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의미지만, 그마저 이탈이 끊이지 않는다.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에서는 3년간 610명의 의료진이 퇴사했다. 같은 기간 한림대춘천성심병원에서 간호사 74명과 전문의 13명이 퇴사했으며, 강원대병원은 2020년부터 2022년 9월까지 전문의 51명이 떠났다.
지난 3월 26일부터 4월 5일 사이 강원 지역 공중보건의사(공보의) 292명 중 42%인 120명이 한꺼번에 전역하기도 했다. 공보의는 보충역의 한 형태로, 일반의·전공의·전문의 자격을 갖춘 의사가 보건업무에 종사하며 병역을 대체하는 제도다. 인력 수급이 어려운 강원 지역 의료원의 특성상 공보의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는데, 이러한 대규모 전역에 따른 의료 공백은 치명적이다. 과가 없어지거나 수술을 하지 못하는 사례가 속출했다.
◆병원 차원의 해결 어려워
이에 강원도 소재 병원들은 의료 인력 이탈을 최소화하기 위해 급여를 인상하고 근무 환경 개선을 시도 중이지만 그 효과가 미미하다. 속초의료원에서는 응급전문의를 채용하기 위해 연봉 4억원대의 조건을 내걸었지만 지원자는 한 명에 그쳤고, ‘응급의학과 전공’이라는 제한을 폐지해가며 5차례 채용을 진행한 끝에 다시 응급실을 정상 운영할 수 있었다.
의료계에서는 급여 인상만으로는 필수 의료 인력을 확보하지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지방 인프라가 전무하면, 높은 급여를 받아도 수도권에서 출퇴근하다 지쳐 퇴사하기 마련이라는 것이다. 27일 열린 간담회에서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안전과 직결된 필수의료의 지방간 격차는 지방소멸의 가속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강원대 의학전문대학원 조희숙 교수의 분석처럼 정부-지자체-병원이 연계한 의료체계 선순환 구조가 필요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