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진국형 질환 '결핵' 발병률 1위...잠복결핵감염 진단은?

결핵환자 접촉자·면역억제 치료시 결핵균 감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내 결핵환자 발병 비율이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위인 것으로 드러났다. 후진국형 질병인 결핵이 국내에서 꾸준히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최근 보건당국은 잠복결핵감염 검진과 치료에 적극 동참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잠복결핵감염은 결핵균이 신체 내에 들어와 감염을 일으켰지만 면역력에 의해 억제돼 잠복만 하고 있는 잠재 질환이다. 병을 일으키지 못하는 상태여서 아무런 신체 증상이 없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결핵균을 전염시키지 않아 일상 생활에 지장이 없다.

면역력이 약해지면 잠복한 결핵균이 증식해 결핵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게 문제다. 평생 잠복결핵감염 상태로 지내는 경우도 많다. 감염자의 약 10%가 실제 결핵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고 본다.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받으면 결핵 발생을 90%까지 예방할 수 있다.

결핵은 환자가 기침할 때 주위 사람들에게 결핵균이 전파되는 공기 매개성 전염병이다. 결핵 기침은 감기와 같은 원인에 의한 기침이어서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결핵의 진단이나 치료가 지연되기 쉽다. 결핵 진단이 늦어지면 주위 사람들에게 그만큼 결핵균 전파 위험성도 크다.  잠복결핵감염 상태에서 미리 치료를 받으면 균 전파를 예방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이 잠복결핵감염 검진, 치료 대상은 아니다. 대상자는 결핵환자의 접촉자와 같이 결핵감염 위험성이 크거나, 면역억제 치료를 받고 있는 등 결핵균에 감염될 시 결핵 발생 위험이 큰 경우가 해당된다.

국내에서는 결핵환자가 발생하면 보건소에서 환자 주위 접촉자들을 조사해 결핵감염 위험성이 큰 사람들에 대해 잠복결핵감염 검진을 받도록 통보하고 있다. 가까운 의료기관이나 보건소에서 무료로 검사를 받을 수 있다. 또 면역억제 치료 결정 등으로 결핵 발생 위험성이 높아진 경우도 의사의 처방에 따라 결핵감염 검사를 받게 된다.

검사 방법은 피부반응검사(투베르쿨린 검사) 또는 혈액검사(인터페론감마 분비검사)로 확인할 수 있다. 검사 결과 음성이 나오면 치료를 받을 필요가 없다. 양성이면 흉부 방사선 촬영 등에서 결핵이 없는 것이 확인되면 잠복결핵감염으로 최종 진단하고 치료를 받는다. 의사 처방에 따라 2가지 결핵약(이소니아지드, 리팜핀)을 3개월 복용하고, 1가지 결핵약을 4개월(리팜판) 또는 9개월(이소니아지드) 복용하기도 한다.

박재석 단국대 의과대학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는 "잠복결핵감염 치료와 관련한 의료비용은 건강보험 산정특례를 통해 면제되므로 치료비 부담이 없다"면서 "잠복결핵감염으로 진단되면 결핵 예방을 위해 미리 치료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질병청 'OECD 회원국 결핵비교'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국내 결핵 환자는 49명으로 OECD 국가 가운데 1위였다. 사망자도 1위 콜롬비아, 2위 리투아니아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장봄이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