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위험 인구 2000만 시대… "관리 점수 낙제점"
당뇨병 환자 600만 명, 당뇨병 전단계 인구는 1583만 명
국내 당뇨병 환자가 600만 명을 넘어섰다. 당뇨병 고위험군인 당뇨병 전단계 인구는 약 1583만 명이다. 국내 인구 중 2183만 명이 당뇨병이거나 당뇨병 위험 수준이라는 의미다.
당초 2050년에야 당뇨병 환자가 600만 명이 될 것으로 예측됐으나, 그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예상치를 추월했다. 대한당뇨병학회가 2012년 발행한 '당뇨병 팩트 시트'에 따르면 2050년 당뇨병 환자는 591만 명에 이를 것으로 보았다.
학회가 발표한 팩트 시트 2021년 버전에 의하면 2020년 기준 국내 30세 이상 당뇨병 환자는 약 600만 명이다. 2010년에는 당뇨병 환자가 312만 명이었다는 점에서 10년 동안 2배 증가한 수치다.
당뇨병 유병률이 급증하면서 진료비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질병관리청 통계에 의하면 당뇨병 진료비는 2015년 1조8000억 원에서 2020년 2조9000억 원으로 5년간 60% 증가했다. 지난 10년간 질병 부담 부동의 1위를 유지하고 있다.
당뇨 환자의 39.2%는 65세 이상 인구다. 65세 이상 여성은 51.2%로, 2명 중 1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다.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는 만큼 노년층에서의 당뇨병 관리가 특히 중요하다.
그럼에도 당뇨병 관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학회는 "당뇨병 관리는 낙제점 수준"이라며 "당뇨병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동반 질환의 비율이 높고 심혈관질환, 신장질환 등 합병증 발생 위험이 크기 때문에 당화혈색소, 혈압, 콜레스테롤 등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해야 하지만, 2020년 기준 통합 관리를 하는 환자는 10명 중 1명"이라고 설명했다. 당뇨병 진단과 관리의 핵심 지표는 당화혈색소다. 목표 범위는 6.5% 미만인데, 이처럼 관리하는 환자는 24.5%에 불과하다.
학회 원규장 이사장은 "당뇨병은 국가 차원에서 관리돼야 할 필수 질환"이라며 "심각한 국가적 위기로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더 미뤄선 안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