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공포 줄었지만, 우울 위험군은 계속 늘어
코로나19 사태가 지속되는 동안, 우울 위험군과 자살을 생각하는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의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 2021년 1분기 발표 결과다.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가 19~71세 성인 21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신건강 현황에 의하면, 우리 국민의 올해 1분기 '우울 평균점수'는 5.7점이다. 이는 지난 2018년 실시된 지역사회 건강조사 결과인 2.3점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총점 27점 중 10점 이상인 '우울 위험군'의 비율은 22.8%로, 이 역시 2018년 3.8% 대비 6배가량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이러한 비율은 지난해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연령별로는 특히 30대의 우울 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30대는 지난해 첫 조사부터 우울 평균점수와 위험군 비율이 꾸준히 높게 나타났다. 20대는 지난해 초기 조사에서는 우울 점수가 가장 낮았으나, 이후 급격히 증가한 수치를 보이고 있다. 30대의 우울 위험군 비율은 30.5%, 20대는 30%로, 60대인 14.4%보다 2배 이상 높다.
자살을 생각하는 비율은 2021년 3월 기준 16.3%로, 2018년 4.7%(2020 자살예방백서) 대비 3.5배 증가했다. 지난해 동기(9.7%)에 비해서도 크게 늘어난 수치다.
우울과 마찬가지로, 자살을 생각하는 비율도 20대와 30대가 각각 22.5%와 21.9%로, 50대(12.5%)와 60대(10%)보다 높았다.
심리적 어려움을 대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없다고 대답한 비율도 30대가 13.1%, 20대가 12.1% 순으로 가장 높았다.
반면, 코로나19 자체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사회생활이나 여가활동 등 코로나19가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도 지난해 조사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코로나19 자체가 일으키는 공포감이나 방역수칙 등으로 인한 불편은 줄어들고 있다는 것.
코로나19와 관련해 필요한 서비스는 감염병 관련 정보, 개인 위생물품, 경제적 지원 등이 높았고, 심리상담 등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욕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와 관련, 보건복지부는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심리상담·치유 프로그램 등 마음건강을 위한 대책을 강화해나가겠다고 전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발생하는 우울감은 '코로나 블루'라는 신조어를 등장시켰을 정도로, 전 세계가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문제다. 아주대학교병원 질병 정보에 따르면, 코로나 블루는 감염병에 대한 걱정, 격리 생활 등으로 인한 답답함, 경제적 손실로 인한 분노 등이 원인이 돼 나타난다. 또한, 기질적으로 예민한 성품을 가진 사람, 자존감이 낮은 사람에게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규칙적인 운동과 스스로에 대한 칭찬, 스트레스 관리 등을 꾸준히 지속해야 증상을 호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