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발성 캐슬만병에 '실툭시맙' 치료 효과 확인

[사진= (왼쪽부터)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조석구, 민기준 교수]
재발성·치료 불응성인 다발성 캐슬만병 환자에게 표적항체치료제인 '실툭시맙(siltuximab)'을 적용해 좋은 치료성적을 보인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림프·골수종센터 조석구·민기준 교수팀은 단일기관에서 2010년부터 11년 간 고식적인 항암치료(CHOP) 혹은 스테로이드 치료에 실패한 다발성 캐슬만병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실툭시맙 치료반응을 분석하고 해당 환자들의 치료전략과 임상경험을 제시했다.

치료 불응성, 재발성 캐슬만병 환자에게 실툭시맙을 투약하자 치료 시작시점부터 증상 호전까지 평균 22일 소요됐다. 대부분 뚜렷한 증상 호전 효과를 보였다. 혈액검사 상 헤모글로빈, 알부민, 적혈구침강계수 등의 지표가 유의하게 정상수준으로 회복되는데 약 3개월이 소요됐다.

림프결절 또는 장기침범 병변의 뚜렷한 호전은 영상검사(경부, 흉부, 복부의 컴퓨터단층촬영)를 통해 치료 시작 6개월 이후 확인됐으며, 완전관해 3명, 부분관해 7명으로 나타나 15명 중 10명의 환자가 실툭시맙 치료에 뚜렷한 반응을 보였다. 또한 연구팀은 장기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약제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위중한 부작용이 거의 없다는 점을 증명했다.

다발성 캐슬만병은 림프종 전 단계 질환으로 림프절 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희귀질환으로, 체내 림프절이 있는 곳은 어디든 발생할 수 있다. 증상은 림프절 비대와 함께 전신권태감, 체중감소, 발열, 야간발한증, 전신부종과 간·비장 등 장기 비대·피부변화, 신경병증 등이다. 빈혈, 혈소판감소증, 단백뇨, 신증후군을 동반하기도 한다. 일부에만 병증이 있을 경우에는 수술적 제거가 가능하며, 전신으로 퍼진 경우 스테로이드 주사제로 치료하기도 한다.

생존기간 중앙값이 14~30개월에 불과할 정도로 무서운 질병이지만 매우 희귀한 질환이고 국내 환자수도 드물어 실툭시맙 치료 반응에 대한 적절한 임상경험과 치료성적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거의 없었다. 이 때문에 치료제의 치료 효과와 임상경과, 안정성을 증명한 이번 연구 결과가 주목된다.

실툭시맙(주사제)은 다발성 캐슬만병의 중요 발병 원인인 인터루킨-6를 표적으로 하는 항체 치료제이다. 뛰어난 치료성적을 보이고 있어 국제적으로 고식적인 항암 혹은 스테로이드 치료에 대해 재발성·치료 불응성인 캐슬만병 뿐만 아니라 캐슬만병의 1차 치료제로도 인정받고 있다.

이번 연구 논문의 교신저자인 조석구 교수는 "캐슬만병은 발병 빈도가 국내에서 특히 낮고, 1차 표준치료가 최근까지 정립되지 못했던 희귀 질환으로, 그간 재발하거나 고식적인 치료에 불응하는 환자에 대한 치료법이 마땅치 않았다"며 "이번 연구는 희귀질환에 대해 단일기관에서 비교적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툭시맙 치료를 지속하며 얻은 임상경험에 대한 내용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민기준 교수는 "다발성 캐슬만병은 극심한 피로감을 느끼며 시름시름 앓다가 사망하는 병으로, 생존기간 중앙값이 14~30개월에 불과하다"며 "실툭시맙의 치료효과를 보여준 이번 연구는 국내 다발성 캐슬만병 환자에게 좋은 소식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내과학회지 온라인판에 2월 24일자로 게재됐다.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