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 걷힌 바이오, 다시 도약할까?
국내 바이오 산업에 대한 불확실성이 걷히는 것일까. 금융 당국이 국내 바이오 산업 여건에 맞는 연구 개발비 회계 처리 기준을 마련키로 했다.
그 동안 제약 바이오 업계에서는 "바이오 기업에 대한 연구 개발(R&D) 회계 처리 기준이 필요하다"며 특화된 회계 처리 가이드라인을 요구해 왔다. 바이오 산업과 기업의 특성을 무시한 일괄적인 회계 기준을 적용해서는 안된다는 주장이었다.
실제로 금융 당국이 명확한 회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않고 일부 바이오 기업을 상대로 회계 감리를 진행하면서 바이오 기업 주가는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바이오 산업 자체의 불확실성도 커져만 갔다. 당시 한 바이오 기업 관계자는 "바이오 업계 상황을 무시한 기준을 들이대면 바이오 기업의 신사업 의지가 줄어들 수도 있다"고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지난 30일 금융 당국은 직접 제약 바이오 기업에 대해 탄력적인 회계 기준을 적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선진국 제약 기업의 회계 처리 관행을 국내 기업에 즉각적으로 동일한 수준으로 요구하는 것은 무리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부위원장은 "장기간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 바이오 산업 특성을 고려, 연구 개발 비용을 자산화할 수 있는 시점에 대해 기준을 제시하겠다"며 "이를 통해 기업 회계 처리와 외부 감사 업무 불확실성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금융 당국은 제약 바이오 기업에 적용될 구체적인 연구 개발비 회계 처리 가이드라인을 9월 중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따라서 임상 3상은 물론 임상 2상 진행 시점에서의 연구 개발비 자산화 처리에 대해서도 금융 당국이 수용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울러 일부 바이오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던 테마 감리도 중징계 대신 계도 조치에 그칠 것으로 관측된다. 김 부위원장은 "감리 결과 중대한 위반이 있는 경우 책임을 엄중히 물을 것"이라면서도 "회계 기준 모호성으로 인한 회계 오류 등에 대해서는 개선 권고나 시정 조치 수단을 활용할 것"이라고 말해 사실상 제재를 최소화할 것을 시사했다.
이에 제약 바이오 업계는 반색하면서도 앞으로 나올 회계 기준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반응이다.
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구체적인 회계 기준이 나와봐야 하겠지만 정부가 바이오 산업에 대해 이해하려 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신호"라며 "제약 바이오 연구개발은 개발 분야가 각기 다른 만큼 특성을 고려한 회계 기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투자 업계도 금융 당국의 이번 조치가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한국투자증권 진홍국 연구원은 "금융 당국이 회계 처리 구체적인 방안을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라며 "아직 회계 처리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고 금감원이 테마 감리를 공식적으로 종결하지는 않았지만 불확실성과 리스크는 확실히 소멸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진 연구원은 "올해 제약 바이오 섹터는 펀더멘탈 훼손보다는 영업 외 요소로 인해 투자 심리가 악화됐다"며 "현재 주가는 하락세를 멈춘 상황으로 불확실성이 완화되면서 투자 심리가 개선돼 악재보다 호재에 민감한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분석했다.
[사진=paulista/shutterst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