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 장기화에 뇌졸중 전문가들 '한숨'...인력 대규모 이탈 우려
의정 갈등이 계속되는 가운데 뇌졸중 전문가들도 인프라 붕괴를 우려하고 나섰다. 뇌졸중센터 인증 사업을 전개하고, 최근 505명의 뇌졸중 전문의들을 확보한 상황이지만 의정 갈등이 지속되면 이같은 인프라마저 무너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숙련된 인력이 많지 않은 강원과 광주·전남 지역은 의정 갈등이 심화되면 더욱 큰 뇌졸중 치료 공백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대한뇌졸중학회는 지난달 29일 드래곤시티호텔에서 뇌졸중 인증의 인력 현황을 주제로 '2024 대한뇌졸중학회 국제학술대회(ICSU 2024) 정책세션'을 개최했다.
급성 뇌졸중 인증의는 급성기 뇌졸중 진료에 전문적인 자격과 능력을 갖춘 신경과 의사를 인증함으로써 필수중증응급질환인 뇌졸중을 매일 24시간 진료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대한신경과학회와 대한뇌졸중학회에서 인증하는 제도다. 올해 처음 도입된 급성 뇌졸중 인증의 심사는 2024년 9월 2일부터 약 1개월 간 신청과 2차 심사과정을 거쳤으며, 505명의 신경과 전문의가 급성 뇌졸중 인증의로 인증 받았다.
학회는 또한 2018년부터 뇌졸중센터 인증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뇌졸중 집중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필요 시설과 인력을 병원이 갖췄는 지를 점검하는 인증이다.
그러나 의정갈등 상황을 맞으면서 학회가 애써 구축한 인프라 붕괴가 우려되고 있다. 허성혁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가장 걱정되는 것은 교수들의 사직"이라며 "올해 한해 동안에는 조용한 사직이 많았는데 내년 2월에 엄청나게 많은 교수들이 그만두게 될 것"이라고 염려했다.
뇌졸중학회에 따르면, 현재 급성 뇌졸중 인증의의 52.3%이 서울과 경기 지역 병원에 분포하는 반면(서울 161명, 경기 103명), 강원 지역은 14명, 광주·전남 지역은 37명에 그치고 있다. 급성 뇌졸중 인증의 규모가 지역별로 심한 불균형을 보이고 있는 것. 의정 갈등으로 교수 이탈이 심화되면 불균형 지역부터 뇌졸중 치료 인프라가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뇌졸중학회 정책이사 이경복 교수(순천향대 의대, 신경과)는 “서울 이외 지역응급센터의 30% 이상에서 급성기 치료가 안되어 재이송을 하기 때문에 골든타임을 놓치게 된다"며 "지역응급센터 중 취약지역을 커버할 수 있고 성장 가능성이 있는 곳을 거점 뇌졸중센터로 성장시켜 전국 뇌졸중센터 숫자를 늘려야 한다” 고 말했다.
이어 그는 "보다 효과적인 응급환자 치료를 위해서는 현재 119의 급성 뇌졸중 환자 이송지침을 지역응급센터 우선에서 뇌졸중센터로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각 취약 지역의 뇌졸중 센터 확보와 함께 전문 인력의 확보가 동시에 진행돼야 하기 때문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영서 한양대 의대 신경과 교수도 "뇌졸중 의심 환자를 진료할 때 신경과 의사의 업무 부담이 커서 뇌졸중을 전공하는 의사가 점차 줄고 인력난은 더욱 심해질 것으로 생각된다"며 "앞으로 뇌졸중 진료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