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안에 물건 쌓아놓는…‘이 장애’ 이렇게나 많다고?
저장장애, 인구 2~6%에 영향, 특히 독신남녀에게 많아…서두르지 말고 차근히 ‘치료’해야
집안에 온갖 물건을 산더미처럼 쌓아놓은 채 사는 사람이 주변에 꽤 많다. 물건을 버리지 못하고 계속 쌓아두는 이런 강박적인 증상을 저장장애(Hoarding disorder, 축적장애)라고 한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가 운영하는 매체 ‘하버드 헬스 퍼블리싱(Harvard Health Publishing)’에 따르면 저장장애는 전체 성인 인구의 약 2~6%에서 발생할 수 있다. 남녀 별로는 큰 차이가 없다. 저장장애는 혼자 사는 사람에게 많이 나타난다. 특히 노인이 저장장애를 보일 확률은 일반인의 약 3배나 된다. 또한 가족 중에 이 장애를 앓는 사람이 있을 때 더 흔히 나타난다.
저장장애는 청소년기에 첫 증상을 보이는 게 일반적이다. 시간이 흐르면서 증상이 더 나빠질 수 있다.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는 어린이에겐 저장 장애가 훨씬 덜 나타난다. 집안에 온갖 물건을 쌓아두면 노인이 넘어지거나 약, 안경 등 중요한 물건을 찾지 못할 수 있다.
종전 연구 결과를 보면 저장장애가 심한 사람의 약 60%는 우울증, 불안증, 사회공포증 등 정신과적 질병도 함께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나 뇌졸중이 저장장애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노인, 젊은이에 비해 저장장애 위험 3배…환자의 약 60%, 우울증 등 다른 병도 있어
미국정신의학회(APA)는 2013년 저장장애를 '강박 스펙트럼 장애'에 속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저장장애 환자는 실제 가치와 상관없이 자신이 갖고 있는 물건(소유물)을 버리는 데 큰 어려움을 겪는다. 물건을 쌓아두려는 저장 충동과 물건을 내버리는 데 대한 고통으로 저장장애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각종 물건이 생활공간에 쌓이면 정상적인 삶이 어렵게 된다. 저장장애는 인간관계, 업무, 안전한 생활환경 유지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가족, 친구나 전문 청소업체가 개입하면 일시적으로는 공간이 깨끗해질 수 있다.
저장장애 환자는 왜 물건을 버리지 않고 쌓아두고 싶은 충동을 강하게 느낄까? 종전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저장장애는 계획, 문제해결, 기억, 학습, 주의력, 조직화 등 정보처리 능력의 어려움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장애에 대한 연구는 20년 넘게 계속됐으나, 그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저장장애 환자는 저장강박증이 자신과 주변 사람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잘 인식하지 못한다. 일부 연구 결과를 보면 저장장애 환자는 가족에 비해 자신의 증상을 훨씬 덜 심각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저장장애의 치료는 결코 쉽지 않다. 하지만 가장 성공적인 저장장애 치료법으로 인지행동치료(CBT)가 꼽힌다. 이는 환자가 문제되는 행위와 관련된 감정, 생각, 행동을 오랜 시간에 걸쳐 전문적인 치료사와 함께 해결해나가는 대화요법이다. 환자는 이 요법을 통해 의사결정, 분류 및 폐기, 정리 등에 대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CBT에는 집안 대청소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완기법도 치료에 포함될 수 있다.
저장장애 치료약으로 미국식품의약국(FDA)에서 시판 승인을 받은 약물은 아직 없다. 다만 담당 의사는 통상 불안이나 우울증을 동반한 저장장애 환자에게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계열의 약을 처방한다. 저장장애로 본인이나 지인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정신건강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게 좋다. 좋은 친구, 가족의 도움을 받으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너무 서두르지 말고 차근히 치료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