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수술 후 고강도 추적 영상검사, 꼭 받아야 할까?

PACEN "생존율 영향 없어...환자 증상 기반한 개별 추적관리 필요"

여성 유방암. 여성 유방의 해부학적 구조.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유방암 수술 후 고강도 추적관찰 영상검사가 생존율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그보다는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증상에 기반한 개별화된 추적관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PACEN)은 ‘유방암 환자의 원격 전이 발견을 위한 추적관찰 영상 검사의 최적화’를 주제로 한 임상적 가치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유방암은 국내 여성에게서 가장 흔한 암으로, 다른 암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치료 성적이 양호하다. 하지만, 일차 치료(수술, 항암치료, 방사선치료 등) 후 재발 위험이 낮지 않기 때문에 정기적인 추적관찰 검사가 필요하다.

국제 임상진료지침에 따르면, 유방암 수술 후 전이 관련 증상이 없는 경우 컴퓨터단층촬영(CT), 뼈스캔 등 전이 여부를 확인하는 추적관찰 영상검사를 시행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의료 현장에서는 환자들이 재발에 대한 불안을 느끼고 짧은 진료 시간, 낮은 의료수가 등 현실적인 이유 때문에 검사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PACEN은 이런 상황을 반영해 유방암 치료와 관련된 여러 해당 분야 전문가와 함께 ‘초기 유방암환자에서 추적 관찰검사법의 최적화 연구’(연구책임자 서울대학교 문형곤 교수) 결과를 다각도로 검토하고, 의료현장에서 활용 방안을 제시했다.

이 연구는 PACEN의 지원을 받아 2010~2011년 국내 12개 대학병원에서 유방절제술을 받은 침윤성 유방암 환자 4130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유방암 수술 후 추적관찰 영상검사(CT, 뼈스캔 등)를 고강도로 수행한 환자군(고강도 검사군)이 저강도 검사군에 비해 원격 전이를 더 빨리 발견했다. 그러나 유방암 특이 생존율에는 두 군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유방암 수술 후 고강도 추적관찰 영상검사가 전이 발견에는 유리하지만 생존율 개선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임상적 가치평가에 참여한 해당 분야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원격 전이를 빨리 발견하기 위해 고강도 추적관찰 영상검사를 시행하는 것은 생존 이득 없이 방사선 노출 위험을 높인다고 평가했다. 검사 비용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부담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환자의 병기, 조직학적 등급, 호르몬 수용체 종류 등 개별 임상적 특성과 증상에 기반한 맞춤형 추적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부각했다. 이를 위해 임상현장에서는 환자와 의료진이 상의해 검사전략을 수립하는 체계를 마련하고, 최적의 전이 추적관찰 검사법(검사 종류 및 시행 주기 등)에 대한 임상진료지침 개발과 공익적 임상연구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PACEN 허대석 단장은 “항암치료 후 장기 생존하는 암 생존자가 약 200만 명에 이르렀고, 이들은 암이 언제 재발할 지 모른다는 두려움 속에서 많은 추적검사를 받으며 생활하고 있다”며 “향후 다른 암에 대해서도 공익적 임상연구를 확대해 암 생존자가 얼마나 자주, 어떤 검사를 받아야 하는 지에 대한 임상진료지침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상적 가치평가 보고서는 PACEN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재원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