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균 감염 취약한 ‘극소 미숙아’에 항생제 쓰려면?
삼성서울병원 연구진, 산모→극소 미숙아로 이어지는 감염 경로 분석
산모에게서 신생아로 이어지는 감염 경로와 신생아 감염의 고위험군에 대한 분석 결과가 나왔다. 예방적 항생제 사용의 선택에 대한 도움을 주는 연구로 필요한 때만 항생제를 쓰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신생아 연구팀은 2013~2020년 병원균이 확인된 산모에게서 출생한 극소 미숙아 173명을 감염 그룹(45명)과 미감염 그룹(128명)으로 나눠 감염 주요 경로와 감염에 영향을 준 요인을 연구했다.
1500g 미만으로 태어난 극소 미숙아는 대개 면역 체계가 불완전한 탓에 세균 감염에 취약한 편이다. 이 때문에 조산 및 감염 위험이 있는 경우 미리 엄마에게 항생제를 투여하거나, 갓 태어난 아기에게 항생제를 쓰기도 한다.
문제는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으로 산모에게는 항생제 내성을, 아기에게는 여기에 더해 괴사성 장염, 신경발달 장애 등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이다.
연구팀이 산모의 혈액과 소변, 질에서 채취한 병원균을 확인한 결과 가장 많은 균은 대장균(30.6%)이었다. 이어 칸디다균(29.5%), B군 연쇄상구균(16.8%), 클렙시에라균(12.1%), 엔테로코커스균(11.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기들도 동일하게 대장균(35.6%)에 가장 많이 전염됐다. 이어 전염된 균은 칸디다균(20.0%), B군 연쇄상구균(15.6%), 엔테로코커스균(15.6%), 클렙시에라균(8.9%) 순이었다.
질은 가장 흔한 감염 경로였다. 대장균에 감염된 극소 미숙아의 30.2%는 출산 때 산모의 질을 통해 감염됐다. 산모의 혈액에서 대장균이 검출됐을 때는 아기에게 100% 전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팀은 감염에 영향을 준 요인을 분석했다. 그 결과 산모가 백혈구 수치가 높거나 융모양막염, 자궁경부결찰술을 받은 이력이 있을 때 아기에게 감염 전파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백혈구의 혈액 내 수치가 1만5000/µL를 초과했을 때 아기 전파 위험이 2.62배 상승했다. 태반의 융모막과 양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융모막염이 있을 때에도 전파 위험이 10.54배까지 상승했다. 조산을 막으려 출산 전 자궁경부를 실로 묶는 결찰술을 했을 때도 4.44배까지 감염 전파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산모로부터 아기에게 균 전달이 된 그룹은 균 전달이 되지 않은 그룹에 비해 사망률이 3배, 뇌실내출혈 발생률은 6배 상회했다.
이에 연구팀은 산모의 출산 전 과거력을 살펴, 양막이 조기 파열되거나 융모양막염이 있을 때는 자궁경부결찰술을 받은 이력, 백혈구 수치 등을 종합해 항생제 투여를 고려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극소 미숙아가 출생 후 세균 배양검사나 염증 반응 등을 확인하고 신중하게 항생제를 투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윤실, 안소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산모에서 극소 미숙아로 이어지는 감염 경로를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항생제 남용을 막고 꼭 필요할 경우에 항생제를 써서 소중한 생명을 지키는 데 보탬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IF=4.6)≫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