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기 있잖아" 자살 전 96%가 '신호' 보내지만…10명 중 7명은 감지 못해

2015~2023년 심리부검 면담 분석...자살 사망자 평균 4.3개 스트레스 경험

자살 사망자는 대부분 자신이 죽기 전 타인에게 신호를 보낸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스스로 목숨을 끊어 사망한 사람 중 96%가 시도 전 주변 사람들에게 경고 신호를 보냈지만 10명 중 7명 이상은 이 신호를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는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과 함께 2015~2023년 9년 간 진행한 '심리 부검' 면담 분석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심리 부검이란 자살 사망자의 가족 혹은 지인의 진술과 고인의 기록을 검토해 자살 사망자의 심리·행동 양상과 변화를 확인하고 자살 원인을 추정하는 조사법이다. 이번 조사를 통해 유족 1262명으로부터 1099명의 자살 사망자에 대한 심리부검 면담 자료를 확보했다.

심리부검 대상 사망자의 64.7%는 남성, 35.3%는 여성이었고 평균 연령은 44.2세였다. 1인 가구는 19.2%였고 고용 형태는 피고용인(직원)이 38.6%다. 월소득 100만원 미만 저소득층이 46.5%로 나타났다.

부검 결과 자살 사망자의 96.6%는 사망 전 '경고 신호'를 보였으나 이를 주변에서 인지한 비율은 23.8%에 불과했다.

경고 신호를 드러낸 시기를 분석한 결과 사망 1개월 이내의 경우 감정상태 변화(19.1%)와 주변정리(14.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사망 1년 이상 전부터 높은 비율로 나타난 경고신호는 수면상태 변화(26.2%)와 자살에 대한 언급(24.1%) 순이었다.

자살 사망자는 평균 4.3개 스트레스 사건을 다중적으로 경험했다. 생애주기별로 보면, 청년기(34세 이하)는 다른 생애주기에 비해 실업자 비율과 구직으로 인한 스트레스 경험 비율이 높았다. 장년기(35~49세)는 직업과 경제 스트레스 경험 비율이 생애주기 중 가장 높았고, 세부적으로는 △직장동료 관계문제 △사업부진·실패 △부채 등이 높았다.

중년기(50~64세)는 퇴직·은퇴·실직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정신건강 스트레스 경험비율이 높았다. 노년기(65세 이상)는 만성질병으로 인한 신체건강 스트레스, 우울장애 추정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1인 가구 자살 사망 특성을 살펴보면 43.8%가 청년기로 나타나 다인 가구 청년기 비율 28%보다 높았다. 또 자택 내 사망 비율이 69%였고 최초 발견자는 가족이 25.6%, 경찰 및 소방 25.1%, 지인 24.6% 순이었다. 1인 가구 자살자 중 비정규직 비율은 43.7%였고 빈곤으로 인한 스트레스 경험 비율은 15.3%로 다인 가구에 비해 비교적 높았다.

심리 부검 면담에 참여한 유족의 98.9%는 사별 후 정신건강 관련 문제를 겪고 있었다. 유족의 72.7%는 고인의 자살 사망 사실을 주변에 알리지 못했다. 그 이유로는 상대방이 받을 충격에 대한 우려와 자살에 대한 부정적 편견 등이 있었다.

이형훈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심리 부검을 통해 파악한 자살위험 요인을 향후 자살예방정책의 근거로 활용하겠다"며 "자살 시도자 등 자살 고위험군이 보내는 경고 신호에 대한 가족·친구·동료 등 주변의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임종언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