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30대인데 폐경이?"..일찍 완경, 사망위험도 높다
심혈관질환, 사망위험 사이 연관성 규명
한국 여성도 이른 나이에 폐경을 맞을 수록 심혈관질환, 사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대 의대 안암병원 가정의학과 김양현 교수팀은 폐경 이후 여성들의 건강 상태를 조사한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폐경은 보통 50세 전후에 나타나는 게 일반적이다. 이때 40~44세 사이에 폐경이 발생하는 경우를 이른폐경, 그보다 빠른 40세 이전에 폐경이 발생한 경우를 조기폐경으로 정의한다.
폐경은 뇌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이는 주요 인자로 지적돼 왔다. 특히 조기 폐경을 경험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과 비교해 심부전 위험이 33%, 심방세동 위험이 9% 더 높게 나타나 심혈관계 질환 위험에 더 노출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인에서 폐경 시기가 뇌심혈관질환과 사망에 대한 독립적 위험요소인지 명확하게 밝혀진 적은 없었다.
고려대 안암병원 가정의학과 김양현, 이규배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 국가검진데이터를 통해 2009년에 수검한 폐경 이후 여성 115만9405명을 대상으로 평균 10년간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 중 1만9999명이 조기폐경이었으며, 113만9406명은 40세 이상의 시기에 폐경이 나타났다.
연구 결과, 40세 이전에 조기 폐경이 나타난 여성은 50세 이상에서 폐경을 겪은 여성에 비해 △심근경색의 위험이 1.4배 △뇌경색의 위험은 1.24배 △사망률은 1.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것은 연구에서 가장 낮은 연령 그룹인 30~34세에 폐경을 겪은 경우, 같은 비교로 △심근경색은 1.52배 △뇌경색은 1.29배 △사망률은 1.33배로 가장 높은 위험도를 보였다. 이로써 더 젊은 나이에 폐경이 발생할 수록 앞서 언급된 모든 위험도가 더 높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교수는 "여성에서 발생하는 뇌심혈관질환은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인지도가 낮아 치료가 늦어지거나 치료를 받아도 소극적인 경우가 많다"며 따라서 "위험인자들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 연구에서는 폐경이 뇌심혈관질환과 사망률에 독립적 위험인자라는 사실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했다"고 지적하며 "이번 연구로 폐경이 발생한 연령이 낮을수록 뇌심혈관질환의 위험과 모든 요인에 의한 사망률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해 폐경이 그 자체만으로 뇌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소로서 고려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심장협회 학술지 《미국 심장학회지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