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도현, 3년간 암 투병… 어떤 병이길래?

희귀성 암 '위 말트림프종'... 헬리코박터균 박멸로도 완치 가능

10일 윤도현 씨가 공개한 사진. 윤 씨는 방사선치료 첫 날의 모습이라고 소개했다. [사진=인스타그램/윤도현]
유명 락밴드 YB의 리더 윤도현(51) 씨의 암 투병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윤 씨는 10일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2021년 여름 암 진단을 받았고 3년간의 투병 끝에 완치 판정을 받았다”고 전했다. 그간 암 투병 사실을 부모님이나 팬, 동료 연예인에게 알리지 않고 항암 치료와 연예 활동 일정을 병행했다.

윤 씨가 진단받은 암종은 림프종의 일종으로 휘귀성 암인 ‘위 말트림프종’이다.

그는 “당시엔 정말 많이 놀랐으나 치료를 열심히 하기로 마음먹고 2주간 약물 치료를 했으나 실패했다”면서 “(이후) 방사선 치료를 결정한 후 한 달가량을 매일 아침 병원에 가서 치료했다”고 말했다.

윤 씨는 이어 “암세포보다 부정적인 마음이 더 위험하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다”면서 “공포와 고립을 택하지 말고 그저 하루하루 최선을 다해 치료하고 건강을 찾기 위해 노력하면 그만이다. 희망을 잃지 말자”고 다른 환자들을 응원했다.

위 말트림프종, 헬리코박터균 박멸로도 완치 가능

림프종이란 우리 몸의 면역세포인 림프구가 악성으로 변하며 종양이 생긴 암이다. 임파종, 임파선암, 임파선종으로도 불린다. 위에서 발병할 경우 △’말트 림프종’과 △진행이 매우 빨라 고위험군에 속하는 ‘광범위 B형 대세포 림프종'(DCBL) 등이 대부분이다.

서울아산병원 암교육정보센터와 국가암정보센터 등에 따르면, 말트림프종은 진행 속도가 느려 전이도 적고 치료 반응도 좋은 편이라 위험도가 비교적 낮다. 점막 부위에서 발생하기에 위 외에도 눈과 폐, 갑상선, 소장 등에서도 발병할 수 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나 클라미디아균 감염 혹은 만성 위축성 위염, 면역결핍증 등 자가면역 문제 때문으로 알려졌다.

위 말트림프종은 위 악성 종양 중 2번째로 많은 질환이지만, 비율적으론 전체의 5%에 불과해 비교적 희귀한 질환이다. 증상은 상복부 통증이 가장 많고 속이 메슥거리며 구역질이 나거나(오심) 구토, 소화불량, 체중 감소 등을 겪는다. 악성일 땐 출혈도 있을 수 있다.

과거엔 대체로 수술적 치료를 권했지만, 현재는 항생제 치료와 항암 화학 요법, 방사선 치료 등을 자주 활용한다. 특히 종양의 위험도가 낮을 땐 항생제를 투약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나 클라미디어균을 박멸하면 암세포가 완전히 없어질 수 있다(완전 관해). 다만 상당한 시간이 소요하며 이 방법에 실패했을 땐 방사선 치료 등의 항암 치료로 전환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선 국가암검진 프로그램(40세 이상 성인 대상)에서 2년마다 시행하는 위내시경검사 또는 위장조영검사를 통해서도 발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위 말트림프종 [자료=서울아산병원]
닥터콘서트
    최지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