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진국 병'이라는 OO, 한국 발병률 1위 불명예
전량 수입하는 BCG 백신, 2024년까지 자체 기술 개발 목표
1970년대까지 한국 영화에 자주 등장하던 장면이 있다. 비련의 주인공이 피를 토하는 모습이다. 결핵 환자가 객혈 증상을 보이는 것.
결핵은 '후진국 병'으로 불릴 정도로 가난한 나라에서 많이 발생한다. 우리나라는 개발도상국 시기, 시대상을 반영하듯 영화나 문학에 결핵 환자가 자주 등장하곤 했다. 선진국이 된 지금은 어떨까? 더 이상 결핵 환자가 발생하지 않을까?
안타깝게도 OECD 회원국 중 결핵 발생률이 여전히 가장 높다. 국내 법정 감염병 중 코로나19를 제외하면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는 감염병이다.
이로 인해 정부는 결핵 퇴치를 위한 계획을 수립·시행 중이다. 질병관리청은 24일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오는 2027년까지 결핵 발생률을 현재의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다. 현재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40명이다.
지난 2013년부터 시행 중인 결핵관리종합계획을 통해 10년간 연평균 환자 수는 8.5% 감소했다. 2013년 4만5292명에서 2022년 2만383명으로 환자 수가 줄어들었다.
코로나 기간 전 세계 결핵 발생은 증가 추세를 보였지만, 국내는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였다는 점에서 정부 계획이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2021년 기준 전 세계 결핵 환자는 4.5%, OECD 회원국은 3.5% 증가한 반면, 국내는 8.0% 감소세를 보였다.
국내에서는 노숙인, 의료수급권자 등 사회·경제적 취약계층과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인 등을 중심으로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다. 고령층 사회에 접어들며 65세 이상 환자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다.
결핵 고위험군 중심으로 조기 발견과 맞춤형 치료를 진행하는 등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상황. 정부는 고위험군 대상으로 결핵 검진비를 지원하고, 잠복결핵감염자 치료 여건을 개선할 예정이다.
결핵 환자 발생 시 시행하는 역학조사를 강화하고, 결핵 고위험 국가에서 입국한 외국인은 입국 전 결핵검진이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다.
결핵 환자 특정에 따라 집중관리를 진행해 치료성공률도 제고한다. 치료가 어려운 다제내성결핵 환자는 치료 종료 시까지 보건소 전담인력이 1:1 사례 관리를 하고 신약 사용이 용이하도록 급여 기준을 개선한다.
결핵 치료 개발을 위한 투자도 이어간다. 현재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소아 대상 필수예방접종인 BCG 백신 기술 개발을 2024년까지 완료하고, 청소년·성인용 백신 후보물질을 발굴할 예정이다. mRNA, 바이러스벡터 등 다양한 백신 플랫폼 파이프라인을 기반으로 2027년까지 임상 3상에 진입한다는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