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율 낮은 '교모세포종' 환자 위한 새 치료 전략은?
서울성모병원, 인터루킨(IL)-7 이용한 항암면역치료제 적용 연구
악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은 수술, 항암 방사선 표준치료를 받아도 평균 생존율이 2년 미만이다. 5년 생존율은 10% 미만으로, 예후가 매우 안 좋다.
재발했을 땐 마땅한 치료제도 없다. 이에 국내 연구팀이 교모세포종 재발 환자에게 인터루킨(IL)-7을 이용한 항암면역치료제를 처음으로 적용해봤다.
IL-7은 암을 공격하는 가장 중요한 면역세포인 림프구 증식을 촉진한다. 림프구 감소증을 회복하는 것이 새로운 항암면역치료로 대두되고 있는 것.
다양한 암종에서 IL-7을 이용한 항암면역치료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가운데, 서울성모병원 신경외과 안스데반(제1저자)·전신수(교신저자) 교수팀은 교모세포종 재발 환자에 이를 적용했다. 체내에서 장기간 생존하도록 유전자 조작을 한 IL-7 항암면역치료제인 'rhIL-7-hyFC(GX-17)'로 치료를 시행한 것.
환자 18명 중 10명은 경구용 항암제 테모졸로마이드과 함께 rhIL-7-hyFC를 투여 받았고, 5명은 항암제 베바시주맙과 rhIL-7-hyFC, 1명은 PCV 항암제와 rhIL-7-hyFC, 2명은 rhIL-7-hyFC 단독 투여를 받았다.
그 결과, 투약 4주 이내에 환자들의 림프구는 평균 1131개(330-2989 범위)에서 4356개(661-22661 범위)로 상승했고, 반복 투약하는 동안 림프구 수가 높게 유지됐다. 전체 환자의 재발 진단 후 생존기간은 387일, 무병생존기간은 231일 이었다.
교모세포종은 재발 시 수술이나 항암치료를 하지만 치료 성적이 좋지 않다. 재발 전과 같은 치료를 진행하면 항암제 내성으로 치료가 잘 안 된다. 연구팀은 이런 환자들에게 항암면역세포치료법이 새로운 치료 전략이 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았다.
안스데반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재발성 교모세포종 환자에서 인터루킨-7을 이용한 첫 임상연구 결과"라며 "다양한 항암제들과 병용 투여하였을 때 유의한 독성 없이 림프구를 유의미하게 상승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추후 대규모 임상시험을 통해 생존율 향상을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종양의학회지(Cancer Medicine)≫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