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수준 높은 남자, 낮은 여자 '비만 유병률' 높다
3040 남자, 2030 여자 비만 '집중 관리' 필요
남성 비만 유병률이 매년 2%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전반적으로 뚜렷한 변화가 없지만, 2단계 이상 비만 유병률은 늘어나는 추세다.
질병관리청이 30일 발간한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비만 심층보고서' 내용이다.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2008년부터 비만 추이와 관련 요인, 코로나19 유행 전후 변화 등을 살폈다.
비만은 체질량지수(BMI)가 25kg/㎡ 이상일 때를 의미한다. 체질량지수가 30~34.9kg/㎡면 2단계 비만, 35kg/㎡ 이상이면 3단계 비만으로 분류한다.
성인 남성은 전 연령에서 2008년 이후 매년 비만 유병률이 2.1%씩 증가하고 있다. 2단계 이상 비만 유병률은 6.3%씩 더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코로나19 유행 전(2018~2019년)과 유행 후(2020~2021년)를 비교하면 30~49세 비만 증가폭이 가장 컸다. 2단계 이상 비만은 40~49세에서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남성 비만 관련 요인은 ▲높은 교육 수준 ▲사무직 ▲고위험 음주 등이었다. 연령별로 19~39세는 흡연, 근력운동 미실천, 40~59세는 근력운동 미실천, 지방 과잉 섭취, 8시간을 초과한 앉아서 보내는 시간 등이 추가 요인이었다.
여성은 남성 대비 비만 유병률에 큰 변화가 없었다. 단, 2단계 이상 비만 유병률은 매년 3.1%씩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19~39세가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비만 유병률 연 2%, 2단계 이상 비만 유병률은 2014년 이후 연 10.3%씩 늘어났다. 남성과 달리, 코로나19 유행 전후 비만 유병률은 큰 변화가 없었다.
여성의 비만 관련 요인은 ▲낮은 교육 수준 ▲낮은 소득 수준이었다. 연령별로 19~39세는 흡연, 40~59세는 고위험 음주, 근력운동 미실천, 낮은 식생활의 질, 60대 이상은 근력운동 미실천, 8시간을 초과한 앉아서 보내는 시간 등이 추가 요인이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비만은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이라며 "남자는 전 연령층에서 비만이 늘고 있어 관심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비만 관련 요인은 남녀 간 차이가 있어 차별화된 대책이 필요하다"며 "특히 30~40대 남자와 20~30대 여자 대상으로 음주, 신체활동, 식생활 등 건강행태 개선을 위한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