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 죄는 '이것' 피하려면 3040부터 혈관 관리해야
대사질환, 나쁜 생활습관 개선해야 협심증 예방 가능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면 '협심증'이 발생한다.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않으면서 가슴을 죄는 것 같은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협심증 환자가 매년 늘어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 진료데이터에 의하면 2017~2021년 협심증 환자는 연평균 2.4% 증가했다. 2021년 기준 진료인원은 71만764명이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31.5%(22만3807명)으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29.6%(21만147명), 80세 이상이 16.1%(11만4093명)로 그 다음 많았다.
60대 이상서 환자 발생이 많은 이유는 그동안 누적된 대사질환과 나쁜 생활습관 탓이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장지용 교수는 "혈관 노화는 비교적 건강한 30~40대부터 서서히 진행된다"며 "나쁜 생활습관과 대사질환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오랜 시간에 걸쳐 동맥이 좁아진다"고 말했다. 혈관 내 협착이 50% 이상 진행된 후에야 협심증 증상이 나타나니, 증상이 나타나기 전인 보다 젊은 나이 때부터 혈관 관리를 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2021년 기준 협심증 환자의 건강보험 총 진료비는 1조39억 원이다.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는 2021년 기준 141만 원으로 의료비용 부담 역시 만만치 않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예방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등 대사질환은 협심증이 발생하는 명백한 위험 요인이다. 대사질환은 과음, 과식, 운동부족, 흡연 등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발생하는 만큼 전반적으로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협싱증이 발생하면 가슴에서 통증이 느껴진다. 특히 운동 시 가슴을 쥐어짜는 것 같은 통증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휴식을 취하거나 안정 시 이러한 흉통이 호전되는 양상을 보인다면 협심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숨이 차는 호흡곤란도 협심증의 주요 증상이다.
협심증을 방치하면 심장에 혈액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심근경색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심부전이나 사망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이 있다면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와 조절을 하고, 평소 주 5회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과 2회 근력운동을 생활화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