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조사 '선생님, 교사, 교원' 제각각... "빅데이터 통합 필요"
병원체 정보, 검역 정보, 환자 정보 등 조각조각 '유기적 연결' 없어
코로나19 관련 정보가 조각조각 분산돼 있어 이를 통합해야 한다는 전문가 권고 사항이 전달됐다.
코로나19 역학조사가 시행된 팬데믹 초기 역학조사관들은 수기로 조사 결과를 작성해 엑셀로 옮기는 작업을 했다. 이로 인해 역학조사별로 내용이 제각각 달랐다.
예컨대 개학을 한 현시점에서 교육 환경에서의 감염병 관리는 매우 중요하지만 교육자들의 감염 여부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은 29일 브리핑을 통해 "교사들이 감염됐는지 안 됐는지 실시간 혹은 일정 간격으로 파악해야 하지만 그게 안 된다"며 "선생님이라고 쓴 역학조사 결과도 있고 초등학교 교사, 교원 등으로 쓴 조사 결과도 있어서 이를 제대로 정리하고 통합·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서로 다른 지역, 다른 시설의 역학조사 파일들을 취합해 1만 명, 2만 명 이상 단위로 조사 결과를 통합하려면 시간이 어마어마하게 걸린다"며 "ICT 강국이라는 우리나라의 위상이 어디로 갔는지 찾을 수 없을 지경"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코로나19 관련 정보는 기간별, 생산주체별로 분산돼 있어 통계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정 위원장은 "감염병 역학조사, 예방 접종, 환자 관리, 검역 정보, 병원체 관리, 감염병 발생 신고 등의 자료들이 조각화돼 있다"며 "코로나에 감염됐을 때 거주하는 지역과 일하는 지역 관할 보건소 사이에 정보 연결이 전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런 것들이 제대로 구축돼야 진정한 방역 선진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감염병 데이터를 유기적으로 통합·연계하고 구조화해 '감염병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면 해당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 빅데이터 기반 감염병 연구를 통한 과학적 근거를 생산하고, 합리적인 정책 방향도 세울 수 있게 된다.
정 위원장은 "감염병 빅데이터 플랫폼은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행정안전부, 법무부 등 관계부처가 모두 적극적으로 협조·협력해야 가능하다"며 "현장의 요구 또한 잘 반영해서 실효성 있는 시스템을 만들기를 정부에 권고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