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 같은 부비동염… 쉽게 봤단 수술까지
일교차가 심한 요즘 같은 때에는 부비동염에 걸릴 위험이 증가한다. 부비동염은 감기로 생각하기 쉽기 때문에 증상이 심해져 결국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일교차가 커지면 기온의 변화에 빨리 적응하지 못해 몸의 면역력이 떨어지게 된다.
여기에 미세먼지, 황사, 꽃가루 등 각종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많은 봄철에는 부비동염을 감기로 오인하기 쉽다. 부비동염을 초기에 치료하지 않고 방치했다가 수술까지 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감기는 재채기, 코 막힘, 인후통, 미열 등의 증상이 일주일 정도 지속되다가 회복되는데 반해 부비동염은 코 막힘, 농도가 짙은 누런 콧물, 얼굴 통증, 코 뒤로 콧물이 넘어가는 후비루 등의 증상이 10일 이상 지속된다.
또한 후각이 감퇴되거나 두통 및 집중력이 떨어져 주의가 산만해지고 기억력이 떨어지기도 한다. 더불어 중이염,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초기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흔히 축농증으로 알고 있는 부비동염은 감기 혹은 알레르기 비염 등으로 인해 코의 점막이 붓고 점액 분비량이 늘어나면 부비동과 코가 연결된 통로가 막혀 부비동 안에 점액이 차면서 발생하게 된다. 부비동은 코의 기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데 코 주위의 뼈 속에 비어있는 공간으로 코 안쪽 공간(비강)과 작은 구멍(배출구)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부비동염은 급성과 만성으로 나눈다. 급성의 경우 대개 감기의 후기 합병증으로 발생하는데 항생제, 충혈 제거제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소염제 등 약물치료를 시행한다. 하지만 부비동이 완전히 막혀 농이 생기거나 3개월 이상 약물치료를 해도 호전되지 않을 경우에도 수술을 시행한다.
만성 부비동염은 급성 부비동염 발병 이후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못했거나 급성 염증이 반복될 경우 나타나는데 약물치료의 효과가 거의 없기 때문에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과거에는 입술을 들고 내부의 점막을 절제하여 부비동에 접근하는 수술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수술 방법은 재발하는 비율이 50%에 이르러 부비동염 수술은 재발이 잘 된다는 인식이 많았다. 하지만 내시경을 이용해 염증이 있는 부비동을 개방하고 환기와 배설을 용이하게 하여 물혹 등 비정상적 부비동 조직을 제거하는 내시경 수술이 도입되어 환자의 수술 만족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비강과 부비동의 정상적인 점막은 남겨놓기 때문에 재발률도 과거에 비해 현저히 줄어들었다. 전문가는 “감기나 알레르기 비염 등으로 증상이 있을 경우 생리식염수로 코를 자주 세척해주는 것이 좋다”며 “약물이나 수술도 중요하지만 평소 이들 질환에 대한 치료와 예방에 힘쓰고, 충분한 영양섭취와 꾸준한 운동으로 면역력을 길러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