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퇴치, 알면 보인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5년 사이 유방암 환자는 10만4293명에서 14만1379명으로 4년간 35.6% 증가했다.

 

특히 전체 환자의 64.5%(9만1163명)를 차지하는 40~50대 중년 여성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여성암이다. 다행스러운 점은 유방암은 2기 이내에 발견하면 5년 생존율이 90%가 넘는다는 사실이다. 정기적인 검진을 통한 조기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다.

 

 

 

1. 유방암 원인

유방암은 하나의 원인에 의해 발생하기 보다는 식사 습관, 음주, 호르몬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30~50%유전적 요인이 5~10%, 알 수 없는 원인에 의한 발병이 30% 이상이라고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환경적 요인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다. 에스트로겐은 자궁, 난소 등 여러 여성 신체기관에 영향을 미치는데, 유방에서는 유방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관여해 일생동안 에스트로겐에 노출되는 기간에 따라 유방암의 위험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 같은 이유로 이른 초경과 늦은 폐경, 30세 이후의 첫 출산, 혹은 출산 경험이 없는 경우, 모유 수유를 하지 않은 경우 등을 유방암의 고위험 요소로 정의한다.

 

 

 

2. 유방암 증상

△멍울

멍울은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일반적인 멍울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단단하고 울퉁불퉁하거나 경계가 모호하며 비교적 유방 안에서 잘 움직이지 않는 느낌을 준다.

 

대부분 통증이 없지만 혹시 통증이 느껴지더라도 유방암일 수 있으므로 새롭게 만져지는 멍울이 있다면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유두 분비물

유두에서 분비물이 나오는 것으로, 한쪽 유방이나 하나의 유관에서 진한 갈색 혹은 가 섞인 것 같은 분비물이 나오면 유방암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약물이나 생활습관, 환자의 전신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역시 전문의에게 확인해야 한다.

 

 

 

△유방 및 겨드랑이의 변화

유방은 양쪽이 대칭을 이루는데, 평소와 다르게 한 쪽 유방의 크기가 커지거나, 처짐의 정도에 차이가 있거나, 단단한 정도가 달라진다면 유방암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유방암은 가장 먼저 겨드랑이 림프절로 전이가 일어나는데 유방의 변화보다 겨드랑이의 변화를 먼저 감지할 수 있다. 겨드랑이에 단단한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한 쪽 팔만 붓는 경우에도 진료가 필요하다.

 

 

 

3. 한국 여성 유방암 특징

한국유방암학회에서 발간한 2016 유방암백서에 따르면 한국 여성의 유방암 발생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이나 발생빈도 자체는 서양에 비해 2분의1~3분의 1 정도로 낮은 수준이며 △서양 여성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유방암 발생 빈도가 높아지지만, 국내 여성은 50대 초반까지 증가하고 이후로는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또 △서양에 비해 폐경 전 유방암에 걸린 40대 환자의 비율이 월등히 높다. 이런 특성들은 한국 여성에게 맞는 진단과 치료, 관리 방법이 필요한 이유이다.

 

 

 

4. 유방암 예방법

유방암 발병에는 복합적 요인이 작용하므로 아직 유방암을 예방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은 없다. 따라서 유방암의 치료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정기적인 검진조기 발견이다.

 

체중 조절, 금연 등 생활 습관을 교정하고 정확한 자가 검진 방법을 숙지하며 정기적으로 검진해 이상이 발견됐을 시 지체하지 않고 전문의와 상담한다. 기본적이지만 가장 중요한 유방암의 예방법이자 성공적인 치료의 시작이다.

 

 

 

5. 유방암의 수술 치료

유방 전체 조직 및 유두와 피부까지 절제하는 유방 전 절제과 병이 있는 부위 일부를 절제하는 유방 부분 절제술이 있다.

 

유방절제술은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나 치료 후 달라지는 신체 형태에 대한 심리적, 미용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종양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와 본래의 형태를 최대한 유지하는 미용적 접근을 함께 고려할 수 있도록 치료 전 담당 전문의와 충분히 상의를 하는 것이 권장된다.

 

    코메디닷컴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