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관동맥 증후군

정의

급성 관동맥증후군은 죽상반(athe romatous plaque, 노폐물이쌓인 것)이 썩거나 파열돼 혈소판이 활성화되거나 관동맥 내 혈전이 만들어지는 공통된 병태생리학적 특징을가집니다. ST절 상승 심근경색은 혈전이 장시간 관동맥 혈류를 완전히 막아 상당한 심근 괴사(일부 조직이 죽는 것)를 초래함에 비해 불안정형 협심증이나 비ST절 상승 심근경색은 파열된 죽상반 위의 비폐쇄성 혈전과 관동맥 수축으로 심근 허혈을 주로 초래하므로 임상 양상이나치료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혈전이 관동맥을 막아 관동맥 혈류에 얼마나 큰 장애가 생기느냐 정도에 따라 불안정형 협심증, 비ST절 상승 심근경색 및 ST절상승 심근경색으로 나누며 허혈성 급사가 일어나기도 합니다.

치료

ST절 상승 심근경색은 관동맥 혈류를 차단한 혈전을 풀어 심근을정상화함으로써 심근 괴사를 줄이는 것이 치료의 주된 목표입니다. 불안정형 협심증이나 비ST절 상승 심근경색은 혈류를 개선해 허혈(혈관이 막히거나 좁아져 빈혈상태가 됨) 증상을 해소하고 나아가 ST절 상승 심근경색으로진행되는 것을 막는 데 치료의 목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불안정형 협심증이나 비ST절 상승 심근경색은 만성 협심증이나무증상 관동맥 질환에서 ST절 상승 심근경색의 발병 전 단계로, 이과정을 안정화시킴으로써 사망률을 줄이고 병이 심해져 급성 심근경색증이나 허혈성 급사(갑작스러운 사망)로 발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최근 만성 안정형 관동맥 질환에서 급성 관동맥증후군으로 진행하는 데 관여하는 병의 요인과 죽상반의 파열이나혈전의 형성에 관여하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의 발전과 함께 병태생리학적 기전에 근거를 둔 치료법이나 새로운 약물치료가 임상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 급성 관동맥증후군의 치료는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 허혈 증상과 심근 손상을 줄이거나 예방하기 위한 항허혈치료

· 병태생리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혈전을 억제하기 위한 항혈전치료

· 환자의 위험도에 따라 관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것을 해소하기 위한 혈관재개통술

· 중·장기적으로 죽상경화반의 안정화 등을 통해 심혈관계 발작을줄이기 위한 위험인자 조절과 약물치료

    코메디닷컴 관리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