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볼라바이러스
정의
에볼라 바이러스는 필로바이러스의 에볼라 바이러스의 한 종에 속하는 바이러스의 총칭이다. 에볼라라고 불리는 경우에는 에볼라 바이러스를 지칭하는 것 외에도 이것이 일으키는 에볼라 출혈열을 의미하기도한다.
에볼라 바이러스의 형태학적, 임상적 특성은 같은 과의 마버그바이러스와 거의 같으며, 바이러스의 첫 발견 이래 지금까지 공식화된 다수 유행기록이 있다. '에볼라'라는 이름은 처음 이 바이러스가 발견된 주변의 강 이름에서유래한 것이다.
원인
에볼라 바이러스는 1976년 수단과 자이르(현재의 콩고민주공화국)에서 거의 동시에 모습을 드러냈다. 에볼라는 동물원성 바이러스인 것으로 추측되고 있는데, 중앙아프리카의저지대 고릴라들의 급격한 개체 수 감소에도 관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보건기구의 상당한 노력에도 아직 숙주는 발견되지 않았다. 지금까지등장한 가설과 연구결과에 의하면 가장 유력한 숙주는 과일박쥐이다. 열,구토, 설사, 근육통, 불쾌감과 내출혈이나 외출혈같은 다양한 증상을 가지고 있으며, 치사율은바이러스의 아형에 따라 50% ~ 89%로 높다.
증상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증상이 일정하지 않지만 갑작스럽게 나타난다. 초기에는고열(38.8도 이상), 심한 두통, 현기증, 근육통, 가슴통증, 복통, 무력감과 피로감, 오심 등이 나타난다. 보통 이런 증상은 말라리아, 장티푸스, 적리(이질), 독감 같은 여러 질환과 매우 유사한 것들이기 때문에 오진 되기 쉽다.
이후 설사, 혈변, 토혈, 충혈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점상 출혈반, 자반, 발진 등도 나타난다. 내과적으로는 저혈압, 빈맥, 혈액 공급의 장애로 말미암아 장기 손상(특히 신장, 비자, 간), 단백뇨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코피 같은 점막 출혈, 응고지연 때문인 출혈경향은 일반적이다. 보통 초기 증상 발현 시점으로부터 7~14일 후 저혈압 때문인 쇼크나 장기부전으로 환자는 사망하게 된다
종류
에볼라 바이러스에는 여러 가지 아형이 있다.
에볼라 자이르형
자이르형은 가장 먼저 발견되고 유행 횟수가 가장 많은 아형이다. 1976년과 2003년 사이에 발생한 자이르형의 유행 사례를 보면 지금까지의 모든 아형 중 평균 치사율이 83%로 가장 높다. 1976년88%, 1977년 100%, 1994년 59%,1995년 81%, 1996년 73, 2001년 ~ 2002년 80%, 2003년에90%의 치사율을 기록했다.
첫 유행은 1976년 8월 26일 자이르의 북쪽 마을인 얌부쿠에서 발생했다. 첫 증례는 44세의 교사 Mabalo Lokela이다. 처음 그의 고열은 말라리아로 진단을 받았고 그는 퀴닌 주사를 맞았다.Lokela는 집으로 돌아갔다. 1주 후 그의 증상은 심한 구토, 혈변, 두통, 현기증, 호흡곤란으로 발전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코, 입, 직장에서 출혈이 일어났다. Lokela는 처음 증상 발현으로부터 14일 후인 9월 8일사망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다양하지만 유사한 증상을 가진 환자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증상은 열, 두통, 근육통과관절통, 피로감, 오심, 현기증으로시작해 혈변, 심한 구토 그리고 출혈로 발전했다. 초기 전염은 Lokela의 주사에 사용된 바늘을 소독하지 않고 재사용해 일어난 것이었고, 이후환자들의 장벽간호(barrier nursing)의 부재, 사망후 시체를 처리하는 전통 관습에서 추가적인 전염이 발생했다.
에볼라 수단형
수단형은 1976년 자이르형 다음으로 발견되었다. 첫 증례는 수단 Nzara의 솜 공장 노동자에게서 발생했다. 과학자들은 이 증례가 자연계의 숙주에게 노출됨으로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했으나, 부근의 어떤 동물이나 곤충에서도 바이러스는 발견되지 않았다. 곧이어발생한 두 번째 증례는 Nzara의 나이트클럽 주인이었다. 지역병원인 Maridi에서 치료를 시도했지만, 환자는 사망했다.
역시 자이르형의 초기와 마찬가지로 전염은 병원 의료진들의 소독에 대한 개념 부족으로 병원 전체로까지 번지게되었다. 그 동안 일어난 수단형의 유행 중 하나는 2004년 5월 수단의 Yambio 주에서 발생했다. 총 20건의 증례 중에서 5명이사망했다. 수단형의 치사율은 1976년 54%, 1979년 68%, 2000-2001년 53%이며 평균 치사율은 53.7%이다.
에볼라 레스턴형
레스턴형은 1989년 11월필리핀에서 버지니아주 레스턴(Reston)으로 수입된 100마리의게잡이원숭이에게서 발견됐다. 이 아형은 영장류엔 치명적이지만 인간에게는 감수성이 없다. 또 필로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 중 유일하게 공기 전염이 가능하다. 레스턴에서 6명의 조련사가 바이러스에 감염됐지만, 아무런 증상 없이 바이러스는중화되었다.
1990년 2월 또다시레스턴형에 감염된 원숭이가 레스턴과 텍사스 주의 앨리스로 수입되었다. 1992년 이탈리아의 시에나에서도레스턴형에 감염된 원숭이가 발견되었고, 1996년에도 역시 이탈리아와 텍사스에서 감염된 원숭이가 발견되었다. 모든 감염된 원숭이는 원숭이 출혈열(Simian hemorrahagicfever, SHF)를 일으켰다. 이 두건의 사례에서는 인간 감염은 없었다.
에볼라 아이보리 코스트형
아이보리 코스트형은 1994년11월 1일 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의 타이 포레스트 국립공원에서 사망한 2마리의 침팬지에서 처음 발견됐다. 침팬지를 부검한 결과, 심장이 거의 파괴되어 있고 폐가 혈액으로 가득 차 있는 것 외에 다른 장기에 특이점은 없었다.
그 이후로 더 많은 침팬지가 발견됐고 모두 새로운 아형의 에볼라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부검을 하던 과학자 중 한 명이 감염되었다. 그녀는 부검 1주 후 뎅기열과 흡사한 증상을 보였고 스위스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았다. 2주후 그녀는 퇴원했지만, 완전히 회복하는 데까지 4주일이 더걸렸다.
분디부교
2007년 11월 30일, 우간다의보건부는 분디부교(Bundibugyo) 지구에서 에볼라 출혈열이 발생했음을 알렸다. 미국 질병통제관리센터와 세계보건기구는 이 유행의 에볼라는 기존의 것들과 다른 새로운 종임을 확인했다. 2007년 12월 14일까지총 119건의 증례 중 35명이 사망했다.
치료
에볼라 바이러스 치료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리바비린 같은항바이러스제나 인터페론은 효과가 없다. 체액손실로 말미암은 전해질 평형 오류의 수정이나 혈액 응고인자도입 같은 대증요법이 일반적이다.
한편 백신 에볼라 바이러스의 표면 당단백질 돌기를 운반할 수 있는 유전자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백신이 있다. 이 백신은 영장류에는 100%에 가까운 예방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인간에게는 효과가 없다. 이전부터 백신 개발이 진행됐으나 현재까지성공적인 보고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Hi mates, its great post regarding cultureand entirely defined, keep it up all the time. fotballdrak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