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노화 치료법, 남녀 따라 상반된 효과
노부모의 건강을 위해 준비한 음식이나 약물이 어머니의 수명 연장엔 도움이 됐지만 아버지에겐 오히려 역효과를 일으켰다면 얼마나 끔찍할까. 그런데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일부 노화 치료방법은 성별에 따라 다른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여성에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방법이 남성에겐 해롭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연구팀이 날벌레와 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실험 논문들을 모아 분석한 결과, 인위적으로 노화를 늦추는 시도는 수컷과 암컷의 사망률에 상반된 영향을 미칠 때가 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데이터들을 분석했을 때도 일관된 결과가 도출됐다.
연구팀은 경구용 낙태약(RU486)을 날벌레에게 주입했을 때 암컷의 산란율은 감소했지만 수명은 늘어난다는 점을 발견했다.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단 성별에 따라 상반된 결과가 도출된다는 사실 역시 확인됐다.
인간 수명의 특징은 사망률 집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 해 동안 새롭게 태어난 사람부터 사망한 사람까지를 전부 집계하면 사망률 그래프가 도출된다. 만약 그 해 특정한 병원균과 전염병이 사망률에 영향을 미쳤다면 이는 자연스러운 노화로 인한 사망률과는 무관하다.
하지만 특정한 유행병이 없던 해의 고령층 사망률을 살펴본다면 노화로 인한 사망률의 특징을 살필 수 있다. 노인 사망률이 갑자기 높아졌다면 무언가 설명할 수 없는 특정한 물질이나 현상이 노화를 촉진시키는 원인이 됐을 수 있다는 의미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존 타워 연구원은 “특정한 해 노화로 인한 사망률이 높아졌다는 점을 발견했지만 그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지는 못했다”며 “하지만 특정한 식이요법이나 유전자 치료가 성별에 따른 사망률 차이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은 확인했다”고 말했다.
특정성별에게는 수명을 연장시키는 요인이 또 다른 성별에게는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성별에 따른 유전적 치료 모델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자연은 인간의 수명 연장보다 종족 번식에 관심이 있다. 이는 ‘길항적 다형질 발현 모델'로 설명되는데, 이 모델은 인생 전반기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지만 후반기에는 치명적인 결점이 될 수 있는 유전자를 자연이 선택한다는 이론이다. 즉 개인의 수명 연장에는 도움이 되지 않지만 종족 번식에는 도움이 되는 방식을 자연이 선호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경구용 낙태약처럼 인위적인 방법으로 수명을 조율하면 수명 연장 방법을 강구할 수 있다. 단 수명과 번식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 이런 방법은 또 다른 성별의 수명 연장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성별 맞춤형 노화 극복 방안에 대한 연구 역시 필요하다. 이번 연구는 ‘노화생물학저널(Journal of Gerontology: Biological Sciences)’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