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도 자주 하면… 탐지기도 ‘깜박’
최근 성폭행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고 있는 모 연예인의 거짓말탐지기 조사 결과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일부에서는 거짓말탐지기 조사 결과가 나오면 진상이 확실하게 드러난다고 단정적으로 말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경찰은 “참고 자료일 뿐”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과연 거짓말탐지기는 얼마나 정확하게 거짓말을 잡아낼 수 있을까.
사람의 뇌는 원래 거짓말보다 진실을 말하는 데 더 뛰어나다. 그러나 거짓말을 입에 달고 살면 정직하려는 본성을 이기고 거짓말탐지기로도 감지하기 어려운 거짓말을 할 수 있게 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거짓말탐지기 조사가 100% 정확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벨기에 겐트 대학의 브루노 베르슈에 박사팀의 연구 결과, 신경촬영법을 통해 보면 사람의 뇌는 거짓말을 할 때 전전두피질 활동이 활발하다. 거짓말을 할 때는 생각을 더 억제할 필요가 있어 반응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더 더디다. 이들의 실험에 따르면 자주 거짓말을 해본 사람일수록 점차 거짓말에 적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거짓말에 적응하면 거짓을 말할 때 대답이 더디던 것이 진실을 말할 때나 거짓을 말할 때나 차이가 사라졌다.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대학의 심리학 교수 에우트 마이어 박사는 “실제 거짓말을 많이 하는 사람은 뇌의 진실 반응이 이론만큼 강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거짓말탐지기 조사에 진실을 말해야만 하는 간단한 질문을 섞으면 응답자가 뇌의 강한 진실 반응 때문에 거짓말을 하기 어렵다”며 “이를 통해 거짓말탐지기 조사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 에모리대학의 심리학자 스콧 릴리언펠트 박사도 “거짓말탐지기는 사이코패스 같은 능수능란한 거짓말쟁이의 말을 효과적으로 잡아내지 못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거짓말탐지기 조사는 평범한 사람보다 병적인 부정직함과 같은 정신병적 특징이 높은 범죄 용의자에게 주로 쓰인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결과는 ‘의식과 인지(Consciousness and Cognition)’지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