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상, 꿈의 유헬스는 언제 도래할 것인가?

지난 칼럼에서 소개했던 내 친구 제프리(Jeffrey)가 칼럼내용을 구글(google)로 번역해보고 자기 나이를 40대로 써줘서 기분 좋다고 메일을 보내왔다. 제1화 칼럼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정하겠다. (나이 오십이 훨씬 넘었음에도 개발자로 활약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나이에 상관없이 엔지니어로 활약할 수 있으니 부럽기만 하다. 우리나라도 기술경험이 축적된 엔지니어가 지속적으로 활약할 수 있는 IT 사업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는데, 최근 상황을 보면 그리 녹록치 않을 듯 하다.

일례로 며칠 전 세계최대규모의 스마트케어 시범사업이 성과를 냈는데도 센터를 폐쇄한다는 소식을 한 기사를 통해서 접했다. 비용이 수백억, 임상대상자가 수천 명에 달해 시범사업 출범부터 관심 있게 바라봤는데 안타깝고 허망하고 화가 난다! 그 기사에서는 의료법개정안 지연 등을 주된 이유로 들었지만 전문가들이 말하는 것은 다르다. 국립대의 某 교수는 시범사업 개발 초기부터 의료법을 배제한 것이 잘못이었다고 주장했다. 시범사업을 할 근거가 없었다는 이야기이다. 유비케어의 K연구원은 “의료법만 해결되면 정말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가 가능할까?“라며 SNS에 의견을 피력했다. (K 연구원은 필자와 오랫동안 헬스IT 산업에 대한 교감을 해온 사이로 추후 자세한 내용을 실을 기회가 있을 것이다.)

필자도 청년기를 유헬스 연구개발사업에 몸담으면서 기술구성도의 밑그림을 그린바 있다(아래 그림). 건강의료 소비자와 공급자와의 연결, 데이터 보관, 의사결정지원 시스템(DSS) 등 IT 관점에서 주요 요소기술을 정의하였다. 현재 감각으로 풀어 쓴다면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제공이 될 것이다(즉, 그림 가운데 박스를 으로 바꾸면 되겠다!)

그러나 당시 소비자가 원하는 유헬스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기술적으로나 제도적으로 성숙하지 않았고, 또 소비자 요구 도출이 쉽지 않았다고 결론을 내린 바 있다. 그때가 5년 전이었다. 기술개발 관점에서 5년은 엄청난 변혁이 일어날 수 있는 시간이다. 일례로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된 지 채 2년이 안되었는데 지금은 데스크톱 PC의 프로세서 사양을 따라잡을 기세다(집에서 딸이 쓰는 PC 보다 내가 들고 다니는 스마트폰이 용량이나 속도 모두 훨씬 낫다!). 즉 어~하는 순간에 이미 기술은 나와 있으며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유헬스 기술은 다른 측면이 있는 듯하다. 유헬스에서 꿈꾸는 무구속, 무자각 생체신호의 취득과 신호분석을 통한 의사결정의 신뢰성을 확신하기까지는 아직까지도 난제로 남아있는 부분이 많다.

☞ 코메디닷컴의 관련 건강뉴스: 생체신호 측정하는 ‘전자 피부’ 

더욱 근본적인 문제는 소비자에게 굳이 그런 기술중심의 서비스가 필요하냐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집을 나서면 바로 병의원, 보건소, 헬스센터 등이 있는데… 스마트케어 시범사업의 필연적 결과를 바로 이런 관점을 함께 고려해서 바라보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은가 한다. 그간 숱하게 이루어진 유헬스 연구개발과 시범사업에서 “내가 낸 세금이 또 허투루 쓰였구나” 하는 비판을 감수하고, 그 과정을 통해서 축적한 기술과 경험을 살리고 진정 소비자 중심 서비스로 환골탈태한다면 수 년 내 도래할 것으로 보이는 헬스IT 빅뱅시대에 조벌자산(兆단위의 자산)의 주인공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코메디닷컴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