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사전만 찾고 국어사전은 묵히는 문화

[이성주의 건강편지]한글과 한국어

영어사전만 찾고 국어사전은 묵히는 문화

어제 한글날, 여름과 가을의 징검다리 같은 날씨였지요? 잘 쉬셨나요? 그런데 뜻밖에 한글날이 어떤 날인지 모르는 분이 많더군요. 여러분은 잘 아시지요?
    
한글날은 1446년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을 기념하면서 한글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날이지요. 1926년 조선어연구회가 음력 9월29일을 ‘가갸날’로 정했다가 1928년 한글날로 이름을 바꾸었지요. 한글은 국어학자 주시경 등이 ‘으뜸가는 글,’ ‘하나밖에 없는 글’ 등의 뜻으로 지은 이름입니다.
    
1945년 광복 후 학자들이 훈민정음의 반포일을 정확히 알게 되면서 이듬해 10월9일이 한글날로 확정됐고 이때 공휴일이 됐습니다. 그러다가 1990년 경제단체들이 “휴일이 너무 많아 산업발전에 장애가 된다”고 문제를 제기하자 ‘국군의 날’과 함께 법정공휴일에서 제외돼 단순한 기념일이 됐지요. 한글단체와 학계의 꾸준한 노력으로 2006년 국경일의 자리를 되찾았고, 올해부터 공휴일이 된 것입니다.
    
한글은 세계 각국의 언어학자들이 극찬하고 있는, 세계 최고의 문자이지요. 저는 ‘총, 균, 쇠’의 저자로 유명한 제레드 다이아몬드가 1996년 펴낸 ‘제3의 침팬지’의 머리말에서 한글을 극찬한 글을 보면서 가슴이 뜨거워졌던 기억이 새롭습니다.
    
이번 한글날에도 언론을 통해 한글의 우수함, 우리말이 홀대받는 실정 등을 다룬 기사를 볼 수 있었습니다. 올해에는 몇 년 전부터 급격히 번진, 이상한 존댓말을 걱정하는 기사가 많았습니다. 여러분께서도 아시다시피 이 현상은 코메디닷컴과 건강편지가 3년 전에 처음으로 문제를 제기해서 여러 분들이 공감해주셨던 주제이지요.
    
그런데 한글날 기사를 톺아보니 기자들 중에서도 한글과 한국어를 구분하지 못하는 이가 적지 않은 듯합니다.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문자를 가리키고, 한국어는 우리가 쓰고 읽고 말하는 언어를 가리킵니다. 
한글날을 계기로 우리말 전체를 둘러보면서 병을 고치는 것은 환영할 만하지만, 한글에 초점을 맞추는 기사가 적어서 조금은 아쉬웠습니다.
    
한국인들은 세계 각국의 언어학자들이 극찬하는 문자를 홀대합니다. 집에 영어사전은 있어도 국어사전 없는 것을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맞춤법을 틀려도 부끄러워하지 않습니다. 호텔, 식당, 거리, 공공장소에 맞춤법과 표기원칙이 틀린 글들이 널려 있습니다. 공문서를 보면 틀린 표기와 어법 때문에 눈살이 저절로 찌푸려집니다. 미국에서는 대통령 후보가 알파벳을 틀리게 썼다가 자질 논란에 휘말리기까지 했는데, 우리나라에선 지식인의 글에 맞춤법 틀린 것이 숲을 이룹니다.
아시다시피 한국어에는 고유어 외에도 한자어, 외래어 등이 포함돼 있지요. 어떤 신문은 한국어를 한글로만 표기해서는 뜻이 헷갈린다며 한자어와 함께 표기하고 있습니다. 극단적인 언론은 모호한 용어가 나오면 아예 한글 대신 한자를 쓰기도 합니다. 그러나 조금만 생각하면 상식과 어긋난 주장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지요. 한국어 낱말의 절반 이상이 한자어라는 것은 맞습니다. 그래서 한자를 배우면 한국어 뜻을 잘 알 수 있다는 것도 맞습니다. 그러나 한국어와 한글의 우수성은 헷갈리는 한자어를 쉽게 바꾸어 표현할 수 있는 언어, 문자라는 겁니다. 학계나 언론에서는 만약 혼동되는 한자어가 있다면 이를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고치는 노력을 해야지, 그것이 귀찮거나 힘들다고 한자를 쓰는 것이 바른길일까요?
    
한글날, 하루가 지났지만 한글에 대해서 자긍심을 갖기를 빕니다. 훈민정음이 괜히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에 선정됐겠습니까?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문자, 정보기술의 발전과 발맞춰 가기에 가장 이상적인 문자, 한글을 가진 우리 민족은 복 받은 민족이 아닐까요?  

생활 속의 한글, 우리말 사랑 10가지

* 평소 글과 말에 대해서 관심을 기울인다.
* 한글로 글을 쓰는 습관을 들인다. 일기를 쓰는 것은 훌륭한 길이다.
* 평소 국어사전을 찾는 습관을 들인다.
* 컴퓨터 문서파일로 글을 쓰다가 단어 아래에 줄이 쳐지는 등 맞춤법 오류 가능성을 뚱겨주면 사전을 찾는 습관을 들인다. 요즘에는 인터넷 사전을 이용할 수도 있다.
* 식당이나 호텔 등에서 틀린 맞춤법이 있으면 알려준다.
* 아이들에게 어려운 용어를 쉽게 가르치는 것을 실천한다.
* 특히 전문가들은 어려운 한자어나 외래어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고치는 노력을 기울인다.
* 용어를 쉽게 풀어쓰는 습관을 들인다. 글을 부드럽고 쉽게 쓸 수가 있다. 한국어는 풀이말 중심이기 때문에 가급적 용어를 풀어쓰도록 한다.
* 각 분야 전문가들은 영어 어원이나 한자를 공부하듯, 한국어의 어원도 공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강추위, 강울음, 강소주의 ‘강’은 ‘메마름’을 뜻하는 접두사다. 따라서 강추위는 ‘눈이나 비바람 없이 추운 날씨’를 뜻한다.
* 아름다운 우리말을 찾거나 배워서 글을 쓸 때나 말할 때 애용한다. 

오늘의 음악

오늘은 먼저 한글날과 어울리는 노래 두 곡 준비했습니다. 첫 곡은 올 노벨문학상 수상이 기대되는 고은의 시에 조동진이 곡을 붙인 노래, ‘작은 배’입니다. 둘째 곡은 송창식이 미당 서정주의 시에 곡을 붙여 노래합니다. ‘푸르른 날’입니다. 마지막으로 이탈리아의 바이올린 연주자 페데리코 아고스티니가 비발디의 사계 중 ‘가을’을 연주합니다. 베네치아의 배경이 음악과 묘하게 어울리면서 운치를 더합니다.

♫ 작은 배 [조동진] [듣기]
♫ 푸르른 날 [송창식] [듣기]
♫ 사계 중 가을 [페디리코 아고스티니] [듣기]

    이성주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