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도 못간다는데"...위급 상황일 땐 '이렇게' 처치 하라
의정갈등 장기화로 응급의료 위기...명절 위급 상황, 스스로 할 수 있는 처치법 알아두기
추석 연휴 응급의료 위기론이 나왔다. 기존 응급실 내원 환자 추이를 바탕으로 이번 추석 연휴엔 하루 평균 1만명의 환자가 응급진료를 받지 못할 것이란 우려다. 의정갈등 장기화로 연휴에 응급환자 증가분을 소화할 수 없을 것이란 추측이다.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의 몫. 아파서 병원에 가도 진료를 못볼 것이라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혹시 모를 크고 작은 사고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집에서 할 수 있는 응급처치를 익혀두는 것이 좋다. 가장 흔하게 일어나는 응급상황에 대한 처치법을 소개한다.
음식 먹다가 켁켁...기도 폐쇄 사고 시 기침부터 유도
명절에는 음식 섭취량이 늘고, 평소 잘 안 먹던 음식도 먹기 때문에 기도폐쇄사고는 심심치 않게 일어난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기도 폐쇄 원인 1위 음식은 떡(46.6%)이다. 사고가 잦은 60대 이상 연령층에서 특히 많이 발생한다.
만약 누군가 음식을 먹다 응급 상황에 처한 것으로 보이면 우선 기침을 하도록 유도한다. 기침을 통해 음식물이 배출되면 다행이다. 기도 폐쇄 상태가 지속되면 '하임리히법'을 시행한다. 이때 어른과 어린이의 처치법은 다르다.
어른 하임리히법 =성인에서 기도가 막혔을 땐 환자의 명치와 배꼽 중간 지점에 주먹을 대고 위로 밀쳐 올린다. 하임리히법을 시행하는 사람은 한 손은 주먹을 쥐고 다른 한 손은 주먹을 감싼 상태에서 환자를 뒤에서 감싸듯 안고 밀쳐 올리기 동작을 해야 한다.
소아 하임리히법=1세 이하 혹은 체중 10kg 이하 소아일 때는 아이의 머리가 아래로 향하도록 자신의 허벅지 위에 엎드려 눕힌 뒤 손바닥 밑부분으로 등의 중앙부를 세게 두드리는 '등 압박'을 시행해야 한다. 이후 양쪽 젖꼭지를 잇는 선의 중앙 부위 약간 아래에 두 손가락으로 4cm 깊이로 강하고 빠르게 누르는 '가슴 압박'을 반복한다.
배탈 나지 않게...날음식 조리 기구 잘 분리해서 사용
세균 박테리아 등의 감염으로 배탈이 나면 응급실에도 못가고 난감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음식 조리나 섭취 시 미생물의 전파를 방지하지 위해 익히지 않은 고기와 채소류는 서로 닿지 않도록 한다. 특히 생고기를 만진 젓가락을 다른 음식을 집을 때 사용하지 않는다.
바닷가에서 잡은 생선이나 조개는 어류의 표면이나 아가미, 내장에 비브리오균이 오염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횟감으로 손질할 때 머리와 내장을 제거 후 표면과 내부를 수돗물로 깨끗이 씻도록 한다. 다른 식자재를 손질하는 것들과는 별도로 칼과 도마를 사용해야 한다. 더욱이 다양한 명절 음식을 먹고 탈이 나는 일도 많으므로, 음식이 상했는지 확인하고, 과식하지 않으며, 적당한 운동으로 소화를 돕도록 한다.
앗 뜨거워...음식 준비 중 화상입었다면 바로 찬물에
명절 음식 준비 중 화상을 입는 일도 흔하다. 데였을 땐 화상 부위에 찬물을 흘려줘야 한다. 통증이 감소할 때까지 흐르는 찬물에 두고 물집이 터지지 않도록 한다. 물집이 터지면 세균 감염 위험이 높아진다. 얼음찜질은 피한다. 동상을 유발하거나 조직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소주, 된장 등을 바르는 민간요법도 피해야 한다. 응급 처치 후에는 병원 치료를 받도록 한다.
쇼크 주의!...안 먹던 음식 먹고 과민 반응, 심폐소생술
안 먹던 음식을 먹으면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 수도 있다. 알레르기 반응의 정도가 심각한 아나필락시스(심한 쇼크 증상처럼 과민하게 나타나는 항원 항체 반응으로 주로 전신에 나타난다)가 일어나면 호흡하기 어려워지고 실신할 수 있다. 생명에 지장을 줄 수도 있는 상황. 이럴 땐 심폐소생술(CPR) 등을 시행한다.
먼저 환자가 반응이 없는지 확인하고 심폐소생술을 시도한다. 환자를 평평한 곳에 눕히고, 두 손을 겹쳐 가슴 가운데에 올린 후 팔을 곧게 펴고 가슴을 약 56cm 깊이로 30회 압박한다. 이때, 분당 100~120회의 빠른 속도로 시행하고,, 가슴 압박 30회를 시행한 후, 기도를 확보하고(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들어 올림), 코를 막고 입을 통해 2회의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인공호흡이 어려울 경우 가슴 압박만 계속해도 무방하다. 심폐소생술 과정을 잘 모르는 경우 무리하게 인공호흡을 시도하지 말고 가슴 압박만 강하고 빠르게 119가 올 때까지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