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밥 먹고, 男생식기 빨갛게 부어"... '이 식중독' 걸린 38세男, 무슨 일?

쌀에서 발견되는 바실러스 세레우스 식중독균...밥 먹고 식중독 증상, 성관계 후 구토 설사 했는데 음경 발적, 부종, 딱지 등 생긴 '음경 식중독' 사례 최초 보고

쌀에 있던 박테리아가 위장관 식중독 일으킨 후 구토와 설사로 인해 음경 피부를 감염시킨 최초의 '음경 식중독' 사례가 보고됐다. *사진은 내용과 직접적 관계 없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쌀로 인한 식중독이 생식기 부위에 영향을 미친 이른바 '음경 식중독' 사례가 최초로 보고됐다.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 최근 보도에 따르면 레바논 38세 한 남성이 일주일 동안 음경의 발적(붉게 변하는 증상), 부종, 딱지 증상을 겪다가 비뇨기과 전문의를 찾았다. 의료진은 이 남성의 행적을 추적한 결과, 증상이 나타나기 하루 전에 가족과 함께 쌀밥이 포함된 식사를 했고, 이후 심한 설사와 구토를 겪은 후 생식기에서 이상 증상이 시작됐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레바논 베이루트 아메리칸 대학교 메디컬 센터 의료진은 감염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면봉으로 이 남성의 성기에 있는 분비물 및 피부 샘플을 채취했다. 그 결과 박테리아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가 발견됐다. 이 박테리아는 보통 실온에 오래 놔둔 쌀에서 주로 나타나며, 섭취하면 복통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식중독 균이기도 하다. 보통 식사 후 30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증상은 비교적 가볍고 24시간 정도 지속된다.

의료진은 이 남성의 비정상적인 생식기 감염이 아내와 '격렬한 성관계' 직후에 발생한 설사와 구토 증상에 의한 것으로 결론지었다.

즉 정황을 요약하면, 먼저 남성이 식중독을 일으킨 바실러스 세레우스 박테리아에 오염된 음식(쌀밥)을 섭취했다. 식중독에 걸린 상태였지만 이를 모른채 성관계를 했고, 끝난 후 바로 구토와 설사를 하면서 이물질을 통해 박테리아가 몸 밖으로 배출됐다. 이때 식중독균이 성기와 접촉했을 가능성이 컸다. 당시 성관계로 인해 남성의 음경 혈관이 확장된 상태였기 때문에, 박테리아가 피부를 통해 음경 조직에 침투해 감염을 일으켰다는 것이다.

이는 남성의 위장 식중독 증상과 격렬한 성적 활동이 결합된 결과다. 의료진은 "박테리아가 환자의 사타구니에 직접적으로 침입한 것으로 보이며 생식기 피부에서 바실러스 세레우스가 발견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고 설명했다.

이 남성은 일반적으로 눈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국소 항생제 연고 퓨시딕산(fucidic acid)으로 치료받았다. 의료진으로 부터 음경 부위를 깨끗하게 관리하고, 다 나을 때까지 성관계와 자위 행위를 피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한 달 후 환자의 생식기 부위에 화끈거림이나 불편함은 사라졌고, 감염이 재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일반적으로 음경 감염은 부상으로 인한 외부 상처와 관련이 있으며 A군 연쇄상구균(Group A Streptococcus, GAS)과 같은 다른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사례는 의학문헌 상 '음경에 식중독이 발생한 최초의 사례'로 '의학 및 외과 연보 저널(Annals of Medicine and Surgery)'에 최근 보고됐다. 의료진은 "이번 사례의 경우 성관계 후 음경을 오염시킨 설사와 구토가 피부 감염의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게재했다.

바실러스 세레우스, 쌀밥을 주식으로 하는 국내 주요 식중독균, 구토 설사 후 이물질 남지 않도록 씻는 것도 중요  

한편, 바실러스 세레우스는 주로 쌀밥과 같이 전분이 많은 음식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에서 식중독의 주요 원인균이기도 하다. 바실러스 세레우스는 열에 강한 포자를 형성하므로 요리 과정에서도 살아남아 있을 수 있다. 이런 포자가 발아해 박테리아가 증식하면 독소를 생산하고, 그 독소는 구토와 설사 유형으로 나타난다.

구토형 독소는 보통 밥과 같은 음식에서 발견되며, 식사 후 1~6시간 내에 구토를 유발할 수 있는 독소다. 설사형 독소는 주로 육류, 유제품, 채소 등 식품군에서 발생하며, 식사 후 6~15시간 후에 복통과 설사를 일으킨다. 만약, 식중독으로 구토 설사를 했다면, 그 이물질이 몸에 묻거나 남아있지 않도록 잘 씻어야 한다.

잘못된 음식 보관과 처리로 인해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균인만큼, 적절한 식품 관리가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10℃ 이하에서는 식중독균이 독소를 생성하지 않으므로, 빠른 시간 내(2시간 이내)에 섭취가 불가능한 경우 반드시 10℃ 이하에 보관한다. 조리 전 식품 원료의 보관 시 냉장원료는 0~10℃에, 냉동 원료는 -18℃ 이하의 온도에서 보관해야 한다. 남은 음식은 충분히 재가열해 박테리아를 죽이는 것이 중요하다.

조리할 때는 교차오염에 주의하고, 가능한 음식을 안까지 제대로 익혀 먹도록 한다. 음식을 조리하거나 보관, 저장 시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조리시에는 손만 제대로 씻어도 식중독 사고의 30%를 예방할 수 있다.

    정은지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