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살이 쭉 빠졌다?"...젊은女 갑상선, 이 문제?

갑상선 기능 떨어지면 심혈관질환 등 노출... "가족력 있다면 정기 검진"

갑상선은 목 앞쪽에 위치하며 나비가 날개를 편 것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갑상선은 몸의 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이다.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호르몬이 부족하거나 과다 분비되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나 항진증이 발생한다. 같은 양을 먹어도 살이 찐다면 저하증, 반대로 살이 빠진다면 항진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2018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118명으로, 2003년에 비해 60% 이상 증가했다. 이 병의 83%는 여성 환자이며 나이가 들수록 유병률이 높다. 반면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2018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40명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비교적 젊은 연령에서 발병한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모든 대사가 느려지므로, 무기력하고 집중력이 떨어지며 체중이 증가하는 등 이상 증세가 생긴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대사량과 심장 박동수가 증가하면서 △두근거림 △다한증 △손 떨림 등이 발생하고 저하증과 반대로 체중이 감소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갑상선 기능 장애를 진단하려면 혈액 검사와 갑상선 자가 항체 측정 검사를 시행한다. 갑상선이 부어 있거나, 아급성 갑상선염 감별이 필요하면 갑상선 초음파를 시행할 수 있다. 원인이 명확하지 않다면 갑상선 스캔을 시행하기도 한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 치료는 주로 갑상선 호르몬의 보충이다. 갑상선 호르몬제는 반감기가 길어 안정적이고, 임신과 수유 시에도 복용해도 될 만큼 안전하다. 국내 갑상선 기능 저하증 환자의 40% 이상이 3년 이상 장기간 치료가 필요하며, 주기적인 갑상선 기능 검사를 통해 적절한 약물 농도를 유지해야 한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 치료는 약물 치료, 방사성 동위원소 치료, 수술이 있다. 비교적 안전하고 환자 부담이 적은 약물 치료를 선제적으로 시행하지만, 재발이 흔한 단점이 있다.

약물 치료에 부작용이 발생하거나 치료 효과가 떨어지면, 약물 치료보다 완치율이 높은 방사성 동위원소나 수술 등 2차 치료를 시도한다. 치료 후 증상이 호전되면 호르몬 분비량이 떨어져 갑상선 기능 저하증으로 바뀌므로, 호르몬 보충이 필요하다.

조윤영 순천향대 부천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갑상선 기능 저하증 환자가 임신을 계획한다면 전문의와 상의해 적절한 갑상선 기능 상태인지 확인해야 한다"며 "임신 중에는 늘어나는 갑상선 호르몬 요구량에 맞춰 호르몬제를 증량하면 된다"고 말했다.

갑상선 기능 장애 가족력이 있다면, 갑상선 기능 이상의 가능성을 꼭 염두하고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요오드 섭취, 바이러스 감염, 스트레스 등이 있다. 갑상선 기능 이상으로 약을 복용 중이라면 지나친 요오드 섭취는 제한해야 한다. 요오드가 함유된 음식으로는 △해조류(김, 미역) △바다 생선 등이 대표적이다.

조 교수는 "젊은 갑상선 항진증 환자들은 바쁜 사회생활로 약을 거르거나 병원 방문을 놓치는 경우가 있다"며 "조절되지 않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부정맥, 심부전 등 심뇌혈관 합병증을 1.5~3배까지 높여 주기적인 병원 방문과 꾸준한 약제 복용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지속되는 피로감, 원인 모를 체중 변화가 있다면, 갑상선 기능 검사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종언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