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면 섭취 조금씩 늘려 '밀 알레르기' 극복

소아청소년 환자 81% 증상 완화...안전 위해 전문가 상담 필수

김지현 삼성서울병원 교수 등 국내 연구진은 빵이나 라면, 과자 등의 섭취에 제한이 생겨 일상적인 불편함이 큰 '밀 알레르기'를 경구면역요법을 통해 가정에서 안전하게 극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빵이나 라면, 과자 등의 섭취에 제한이 생겨 일상적인 불편함이 큰 '밀 알레르기'를 가정에서 안전하게 극복할 수 있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밀 알레르기는 밀에 포함된 단백질 성분에 발진, 가려움증, 호흡곤란 등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심한 경우 쇼크(아나필락시스)가 나타나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

삼성서울병원은 김지현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와 세종충남대병원, 고신대복음병원 공동 연구팀이 '밀 알레르기 경구면역요법'의 효과를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5년 10월~2022년 7월 밀 알레르기 진단을 받은 3~17세 환아 50명에게 경구면역 요법을 시행했다. 이는 가정에서 삶은 면 섭취량을 조금씩 늘려나가며 밀 알레르기 반응을 완화하는 방식이다.

맨 처음엔 의료진과 함께 검사를 통해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는 초기 섭취량을 결정한다. 이후 가정에서 삶은 면 섭취량을 3g(밀 단백질 기준 90mg)씩 3~7일 간격으로 조금씩 늘린다. 최종 목표 섭취량인 삶은 면 80g(밀 단백질 2400mg)까지 증량하면 유지 단계에 들어선다. 유지 단계에선 최소 12개월 동안 일주일에 4번 이상 1회 밀이 포함된 음식을 꾸준히 먹는다.

이 요법은 환자의 안전을 위해 전문가의 상담과 교육 아래 진행했다. 면은 끓는 물에 5분 동안 충분히 익히고, 소수점 아래 두 단위까지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저울을 사용해 먹는 양을 철저히 계량한다. 또한, 알레르기 등으로 인한 면역 과잉 반응(아나필락시스)에 대한 주의와 증상 관리, 응급 대처(에피네프린 주사법)를 교육했고 보호자는 증상 일지도 작성한다.

이 결과, 경구면역 요법을 받은 소아청소년 50명 중 41명(82%)에서 약 9개월(중앙값)만에 알레르기 증상이 사라졌다. 반면, 해당 요법 없이 치료를 진행했던 대조군 환자 22명에선 1명(4.5%)만 알레르기 증상이 자연적으로 소실됐다.

알레르기 증상이 사라진 것은 혈액 검사에서도 확인됐다. 지속적인 밀 섭취로 알레르기 반응과 관련 있는 지표인 '면역글로불린(IgG4) 수치'가 증가해 밀에 대한 항체가 생성돼 알레르기 반응을 완화했다. 호산구 수치도 감소해 면역 체계가 밀에 적응했다.

경구면역 요법 이후 환자들의 삶의 질도 크게 개선했다. 유지 단계까지 거친 참가자의 대부분(44명, 88%)이 밀의 형태나 종류와 상관없이 용량 제한 없이 섭취가 가능해졌다. 반면 90%(20명)의 대조군 환자에서 여전히 밀 섭취가 제한됐고 혹시라도 밀을 먹어 발생할 수 있는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걱정을 놓지 못했다.

경구면역 요법을 시행하는 동안 알레르기 반응도 안정적으로 관리됐다. 참여 기간 환자들은 각 2회 정도의 알레르기 반응을 보고했고 가려움증과 같은 피부 증상이 가장 많았다. 다만, 참가자 50명 중 15명(30%)에서 아나필락시스를 경험했기에 전문 의료진의 교육과 보호자의 초기 대처가 매우 중요하다.

연구를 주관한 김지현 교수는 "식품 알레르기는 오랜 기간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로, 단순히 좋아하는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언제 어떤 식으로 응급상황이 발생할 지 모른다는 불안에 시달린다"고 말했다. 이어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과 전문적인 교육에 따라 집에서 편안한 방법으로 밀 알레르기를 극복할 수 있게 되면 최소한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공포에서 벗어나고, 나아가 다양한 음식을 마음껏 즐길 수 있는 날을 기대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다만, 김 교수는 "연구 결과는 고무적이지만, 전문 의료진과의 상담 없이 환자나 보호자가 임의로 이 방법을 시작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실제 이번 연구에서도 천식을 동반하거나 면역혈청학적 검사가 부적합한 환자는 실패 가능성과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높아 경구면역요법 대상자에서 제외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했으며 논문은 «아시아·태평양 알레르기·면역학회 학술지»에 게재됐다. 전문은 다음 링크(https://doi.org/10.12932/ap-130224-1783)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지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