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프종 치료 평가, PET/CT 검사가 MRI보다 효과적?
서울아산병원 연구진 "표준검사법인 MRI보다 평가 변별력 더 좋아"
중추신경계 림프종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예후를 추적·평가하는 표준검사법인 MRI(자기공명영상) 검사보다 PET/CT(양전자방출단층촬영) 검사가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지금까지 PET/CT 검사는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 치료에서 역할이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상태였다.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윤덕현·조형우, 핵의학과 김재승·오민영 교수팀은 MRI와 PET/CT 검사를 처음 비교한 내용을 국제 학술지 «뉴로온콜로지(Neuro-Oncology)»에 최근 발표했다.
MRI는 주로 종양의 해부학적 구조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종양의 위치 및 크기 등을 파악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반면, PET/CT는 종양의 생물학적 활동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통해 치료 후 대사 반응을 평가한다. 이를 위해 방사성의약품을 정맥 주사로 투약하고 특수 장비로 이 약품의 신체 내 분포를 촬영해 분석한다.
연구팀은 두 검사법의 치료 예후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2006~2020년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을 신규 진단받은 268명을 대상으로 '18F-FDG' 검사를 시행했다. 18F-FDG는 포도당 유사체로 신체 내 세포에 흡수되며 종양처럼 대사 활동이 활발한 세포에서 높은 방사능 신호를 감지해 생물학적 활성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치료 전 PET/CT로 측정한 종양의 부피가 17㎤ 이하의 환자군은 전체 생존기간의 중앙값이 74.0개월로, 종양 부피가 17㎤ 이상인 환자군의 전체 생존기간 중앙값 12.5개월과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치료 후 PET/CT로 측정한 대사 반응 검사 결과, 치료 반응이 좋아 대사 활동이 없어진 환자군(PET-)은 무진행 생존기간 평균 46개월, 전체 생존기간 평균 62개월이었다. 치료 반응이 적거나 종양이 활성화 돼 대사활성이 남아 있는 환자군(PET+)의 무진행 생존기간 평균 10.5개월, 전체 생존기간 21개월에 비해 훨씬 좋은 결과였다.
반면, MRI상에서 측정한 종양의 치료 반응 정도는 환자의 예후 평가에 변별력이 없었다. 따라서, 연구진은 PET/CT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중 종양의 부피와 치료 후 대사 반응이 환자의 무진행 생존기간과 전체 생존기간에 중요한 독립 예후 인자로 평가했다.
김재승 교수는 "이번 연구는 중추신경계 림프종에서 검사별 예후 예측 정확도를 처음 비교한 것으로, PET/CT가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 환자의 예후 평가와 치료 반응 모니터링에 중요한 도구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윤덕현 교수는 "종양의 해부학적 위치와 크기를 알려주는 MRI와 대사활성도를 측정하는 PET/CT가 서로 보완적으로 쓰인다면 최적의 치료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