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탕 없는 '제로 슈거' 찾다가...나도 모르게 '피떡' 생긴다?
설탕과 달리 에리스리톨 30g 투입하자 혈소판 반응성 수치 올라가
요즘 유행하는 ‘제로 슈거’의 원천 중 하나인 인공감미료 에리스리톨(erythritol)이 심장마비와 뇌졸중 같은 심장과 혈관에 문제를 일으키는 혈전을 높인다는 새로운 추가적 연구결과가 나왔다. 혈전은 쉽게 '피떡'이라고도 불리며, 혈관 내에서 피가 응고되어 덩어리로 변한 것을 의미한다.
8일(현지시간) 《동맥경화증, 혈전증과 혈관 생물학(Arteriosclerosis,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에 발표된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 연구진의 논문을 토대로 건강의학 포털 웹엠디(WebMD)와 CNN이 보도한 내용이다.
에리스리톨은 칼로리와 탄수화물을 제한하고자 하는 키토다이어트 제품 등에 자주 사용된다. 옥수수를 발효시켜 생산할 수 있는 당 알코올의 하나다. 과일과 채소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고 우리 몸에서 소량으로 만들 수도 있지만 식품과 음료에 인위적으로 첨가하는 것은 농산물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양보다 훨씬 많다.
이번 연구는 건강한 사람이 에리스리톨 30g을 섭취했을 때, 그 후에 더 높은 혈전 위험을 나타내는 혈액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연구진은 에리스리톨군 10명과 설탕(포도당)군 10명에게 ‘일반적인 양’인 30g을 투입하고 혈전을 생성하는 혈소판 반응성을 측정했다.
하젠 소장은 “놀라운 것은 모든 피험자에서 에리스리톨 섭취 후 혈소판 반응성의 모든 측정치가 올라갔다는 것”이라고 CNN과 인터뷰에서 밝혔다. 하젠 소장은 동일한 양의 포도당이 투입된 10명에게서는 혈소판 반응성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혈소판 기능에 대한 여러 가지 측정치에 대한 포도당 섭취와 에리스리톨 섭취의 효과를 직접적으로 비교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포도당은 응고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에리스리톨은 응고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경우 제조업체는 제품 라벨에 당알코올의 양을 표시할 의무가 없지만 자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미 식품의약국(FDA)는 소비자가 포장 성분표에 당알코올이 표시되어 있는지 확인할 것을 권고한다. 당알코올은 제빵 제품, 껌, 잼과 젤리, 프로스팅(아이싱), 사탕, 아이스크림 및 기타 냉동 디저트를 포함한 많은 무설탕 및 저당 제품에서도 발견된다.
이와 관련한 최근 연구들은 지난해 《네이처 의학》에 발표된 클리블랜드 클리닉 연구진의 연구에서 파생됐다. 그 연구는 4000명을 대상으로 에리스리톨 혈중 농도 증가가 심장 및 혈관 문제 발생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에리스리톨과 혈액 응고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종전 연구도 있었다. 사람들이 일반적인 양의 에리스리톨로 인위적으로 단맛을 낸 음료를 마셨을 때 혈전 위험을 높일 수 있는 혈액의 변화가 며칠 동안 지속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
이번 연구를 이끈 클리블랜드 클리닉 심장병 전문의인 스탠리 하젠 박사는 “많은 전문 학회와 임상의들은 비만, 당뇨병, 대사증후군 등 심혈관 질환위험이 높은 사람들에게 설탕 대신 당 대체 식품 섭취를 일상적으로 권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따라서 “에리스리톨 및 기타 설탕 대체물의 심혈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추가적인 장기 임상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FDA는 현재 당알코올은 안전한 것으로 간주하고 있지만 “어떤 사람들은 어떤 식품 물질에 대해 특별한 민감성이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며 “식품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이 우려되는 경우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라”고 경고하고 있다.
인공감미료 업계 단체인 ‘칼로리 관리 위원회(CCC)’의 칼라 손더스 회장은 연구 대상자 수가 적고 에리스리톨 사용량 등 연구 설계 방식에 문제가 있다면서 이번 연구 결과를 신중하게 해석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소비자는 과학에 의존해야 하며, 30년 동안 과학은 에리스리톨이 당과 칼로리 감소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선택임을 입증해 왔다”고 CBS 뉴스와 인터뷰에서 말했다.
클리블랜드 클리닉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는 에리스리톨이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되는 식품 첨가물인지 재평가할 필요성을 제기한다”고 밝혔다.
해당 논문은 다음 링크(https://www.ahajournals.org/doi/abs/10.1161/ATVBAHA.124.321019)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