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코로나19에 더 취약...입원율·사망률 더 높았다"

이혜진 분당서울대병원 교수팀 5000만명 빅데이터 분석

코로나19는 저소득층에서 더 예후가 안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코로나19가 사회·경제적 여건이 나쁜 사람에게 더 치명적이었다는 대규모 분석 결과가 나왔다. 특히 저소득층은 코로나19로 인한 사망률이 5배, 입원율이 3배 가량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혜진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연구팀(이진용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교수, 서울대 의대 남현우 학생)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른 격차를 조사하고 입원과 사망의 위험 요인을 식별하는 연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20~2022년 5198만4158명의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를 연구에 활용했다. 이들은 정부의 방역정책 변화에 따라 △1시기(2020년 1월1일-2021년 2월28일) △2시기(2021년 3월1일-2021년 10월31일) △3시기(2021년 11월1일-2022년 5월31일) △4시기(2022년 6월1일-2022년 12월31일)로 나눴다. 그런 뒤 시기별 코로나19 발생률, 입원율, 사망률, 치명률(어떤 병으로 죽는 환자의 비율)을 조사했다.

분석 결과 2110만5865명(40.6%, 10만 명당 40,601명)이 1회 이상 코로나19에 감염됐으며 대부분 3시기(10만 명당 2만4457명)와 4시기(10만 명당 1만7529명)에 발생했다.

사망은 총 5만4638명(0.11%, 10만 명당 105명), 치명률은 10만 명당 259명이었다. 사망률은 3시기에 10만 명당 65명, 4시기에 10만 명당 35명으로 후반기에 높았으나 치명률은 1시기에 10만 명당 1800명, 2시기에 10만 명당 593명으로 전반기에 더 높았다.

저소득 취약계층인 의료급여 대상자와 건강보험 가입자를 비교한 결과, 의료급여 대상자의 입원율과 사망률, 치명률이 각각 2배 이상 높았다.

입원율은 의료급여 대상자가 평균(10만명당 2106명)보다 2.7배 높은 10만명당 5663명을 기록했다. 사망률은 10만명당 498명으로 평균(10만명당 105명)보다 4.7배 높았다. 어떤 병에 대해서 죽는 환자의 비율인 치명률 역시 의료급여 수급자가 10만 명당 1521명으로 평균(10만 명당 259명)보다  5.8배 높았다. 다만 전체 기간 의료급여 대상자의 코로나19 발생률은 10만 명당 3만2737명으로 평균(10만 명당 4만601명)보다 낮았다.

나아가 연구팀은 사회·경제적 여건과 코로나19로 인한 입원, 사망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했다. 그 결과 입원·사망 위험도는 △낮은 경제 수준 △장애가 있는 경우 △동반질환이 많은 경우 △남성 △노인 △비수도권 거주자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만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을 했을 땐 입원 위험도를 40% 낮췄다.

이혜진 교수는 "저소득층, 장애인과 같은 취약계층이 더 코로나19에 취약했고, 대유행이 진행함에 따라 그 격차가 커졌다"며 "향후 감염병 유행 때 취약계층이 건강 불평등을 겪지 않도록 대응전략 및 사회안전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종언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