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위험 더 높았다고?”…종합비타민, 장수 도움 안된다

흔히 복용하는 종합비타민 영양제, 사망 위험 낮춰주지 않아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고 전반적인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 먹는 종합비타민이 실제로는 오래 사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가장 흔히 복용하는 영양제 중 하나인 종합비타민.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고 전반적인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 먹는 종합비타민이 실제로는 오래 사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부 분석에서는 오히려 매일 종합비타민을 먹은 사람의 사망 위험이 높게 나오기도 했다.

미국 국립암연구소 연구진은 미국에서 장기간에 걸쳐 실시된 3개의 대규모 건강 연구 데이터를 종합해 종합비타민 복용 여부가 장기적으로 이점이나 위험성이 있는지 밝히고자 했다고 연구 배경을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연구 시작 당시 전반적으로 건강했던 성인 39만 124명이 포함됐다. 참가자들이 종합비타민 복용 여부 및 빈도를 보고한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진은 국가 사망률 기록을 통해 향후 20여 년 동안 사망한 사람들을 추적 조사했다. 그런 다음 종합비타민을 복용한 사람과 복용하지 않은 사람들 사이의 사망률을 비교한 결과, 매일 종합비타민을 복용했던 사람이라고 해서 사망 위험이 더 낮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심장병이나 암과 같은 특정 사망 원인 뿐 아니라,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이는 연령, 흡연 여부, 식단의 질 등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을 고려한 결과다.

심지어 일부 분석에서는 매일 종합비타민을 복용한 사람들의 사망 위험이 약간 더 높게 나오기도 했다. 다만, 그 차이는 약 4%로 크지 않은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 연령대, 다양한 식습관 및 건강 행태를 가진 사람들을 포함해 다양한 하위 그룹에 걸쳐 동일하게 나타났다.

연구진은 “우리는 규칙적으로 종합비타민을 복용하는 건강한 성인들에게서 장수에 도움이 된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며 “하지만 종합비타민 복용이 노화와 관련된 다른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진은 장기적으로 진행된 대규모 연구 데이터를 토대로 했지만 관찰연구이기 때문에 제대로 측정되지 않은 교란 요인(예: 의료서비스 이용)이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었다는 점, 참가자들이 보고한 내용에 의존했다는 점 등 연구에 일부 한계가 있을 수 있단 점을 인정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의학협회 저널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Multivitamin Use and Mortality Risk in 3 Prospective US Cohorts’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닥터콘서트
    지해미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