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재용 SK바사 대표 “독일 IDT 인수, 5년 시간 번 것”

"SK그룹의 리밸런싱 흐름과 일치"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이 기자간담회에서 IDT바이오로지카 인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천옥현 기자

“생산력 확충을 위해 안동 공장 증설을 검토했는데, 이번 독일 기업 IDT바이오로지카 인수는 공장 증설에 필요한 5년이라는 시간과 최고 수준의 생산 설비를 함께 확보한 것이다.”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27일 기자간담회에서 독일 CMO(위탁생산)·CDMO(위탁개발생산) 기업 IDT바이오로지카(이하 IDT) 인수 의미를 이같이 밝혔다.

이 회사는 전날 독일 제약∙바이오 기업 클로케그룹과 IDT 경영권 지분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 IDT는 독일과 미국에서 CDMO사업을 하는 기업이다. 백신 생산이 주력 사업이며, 세계 최초 항암바이러스 치료제인 ‘임리직’을 생산하고 있다. 기업 가치는 약 6560억원 수준으로 평가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번 계약을 통해 IDT 지분 60%를 3390억원에 취득한다. 클로케그룹이 보유한 구주 일부와 유상증자를 통해 발행되는 1120억원(약 7500만유로)의 신주를 취득해 최대주주가 되는 방식이다.

이와 함께 클로케그룹의 투자도 이뤄진다. 클로케는 IDT 지분 40%를 유지하면서 약 760억원을 투자해 SK바이오사이언스 지분 1.9%를 신규 확보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SK는 약 2630억원의 현금으로 IDT를 인수하게 됐다.

안 사장은 “최첨단 생산시설과 바이오인력, 강력한 고객 네트워크를 가진 좋은 회사를 좋은 시점에 좋은 가격으로 인수하게 됐다”며 “특히 클로케그룹이 엑시트(투자금 회수)하는 것이 아니라 같이 키우는 방식이고, SK바이오사이언스에 지분투자도 한다는 점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안 사장은 이번 인수가 그룹 차원의 리밸런싱(구조조정) 흐름과 일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SK그룹이 그룹 차원에서 리밸런싱이라는 이름으로 최적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백신 사업은 진정성을 가지고 계속 해 나갈 것”이며 “백신 사업은 다음 팬데믹을 준비하는 의미에서도 포기하기 쉽지 않고,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와도 맞닿는다”고 말했다.

또 “리밸런싱의 핵심은 선택과 집중이지만, 기회를 놓치면 안 된다”며 “이번 IDT 인수는 놓쳐서는 안 되는 기회를 적절하게 실행하는 것”이라고 했다.

전략적 측면에서 이번 인수는 SK바이오사이언스의 성장전략인 ‘SKBS 3.0’을 가속하는 동력이 될 것이라고 안 사장은 밝혔다. SKBS 3.0은 백신 포트폴리오 확장, 제조 R&D·인프라 강화, 전세계 공장 확대, 넥스트 펜데믹 준비, CGT(세포·유전자 치료제) 추진 등 다섯 가지 전략이 포함된다.

안 사장은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건 제조 인프라 강화 전략으로 회사가 CDMO 영역으로도 본격적으로 진출한다는 의미”라며 “또한 내년 5월 준공하는 송도 R&D센터에서 확립된 최첨단 기술을 안동공장과 IDT에 적용하면 전 세계적으로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전략이 완성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만 IDT인수를 통해 SK바이오사이언스의 사업이 CDMO사업으로 전환되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자체 제품을 생산하는 시설로 활용하면서 CDMO 사업을 추가하는 차원이라는 설명이다.

안 사장은 “SK바이오사이언스가 2021년 상장한 이후 왜 가시적인 성과가 없냐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는데 오랜 기다림 끝에 좋은 파트너를 만났다”며 “기존 대주주와 공동경영을 통해 진정한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닥터콘서트
    천옥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1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