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기부전 때 먹는 비아그라… ‘이 병’도 예방한다?

”뇌 혈류 촉진해 혈관성치매 막아줘”…앞서 알츠하이머성치매 예방효과 드러나

발기부전 때 먹는 비아그라… ‘이 병’도 예방한다?
‘작은 파란 알약’ 비아그라(성분명 실데나필)가 혈관성 치매의 예방에도 좋다는 연구 결과가 새로 나왔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발기부전 치료제인 비아그라는 20세기 최고의 발명품 중 하나로 찬사를 받았다. 남성의 고민을 해결함은 물론 알츠하이머성 치매(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등에 좋다는 연구 결과가 적지 않다.

‘작은 파란 알약’ 비아그라(성분명 실데나필)가 혈관성 치매의 예방에도 좋다는 연구 결과가 새로 나왔다. 혈관성 치매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다음으로 흔하다. 영국 옥스퍼드대 의대 연구팀은 뇌소혈관질환(CSVD, Cerebral Small Vessel Disease)의 신경학적 징후가 있는 사람 75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뇌소혈관질환(CSVD)은 뇌의 백질(white matter)에 있는 작은 혈관이 손상되는 각종 병이며 치매, 뇌졸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병은 뇌 안쪽의 작은 혈관이 만성적으로 손상돼 좁아지고 막히고 샌다. 소혈관 손상은 나이가 들면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어느 정도 발생한다. 고혈압을 오래 앓은 사람에겐 더 심하게 나타난다. 뇌의 작은 혈관 손상은 뇌의 깊은 부분으로 가는 혈류를 줄여 뇌졸중과 치매를 일으킬 수 있다. 이를 ‘혈관성 치매’라고 한다.

연구팀은 참가자에게 비아그라(실데나필), 위약(가짜약), 혈관질환 치료제(실로스타졸) 등을 각각 3주 동안 투여했다. 이들 약물요법은 최소 1주 이상의 ‘휴약’ 기간으로 분리됐다. 참가자는 각 요법을 적용 받고 1주일 이상 동안 쉰 뒤, 다른 요법으로 넘어갔다. 연구팀은 이 같은 형태의 교차시험을 끝낸 뒤 뇌 혈관의 변화를 측정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아그라는 치매의 발병 위험에 처한 사람의 뇌 혈류를 촉진해 그 사람의 혈관성 치매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아그라는 뇌혈관 반응성, 뇌 혈류, 뇌혈관 저항 등을 많이 개선했다. 또한 실로스타졸과 비슷한 효과를 보였지만 설사 등 부작용은 더 적었다.

가장 걸리기 싫은 병으로 치매를 꼽는 사람이 많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 의료 정보에 따르면 국내 치매 환자는 2024년 약 101만400명으로 추정된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연구의 교신 저자인 알라스테어 웹 박사(울프슨 뇌졸중치매예방센터)는 “이번 연구는 ‘옥스하프(OxHARP)’ 시험이다. 향후 임상시험의 토대를 마련했다. 비아그라가 혈관성 치매 예방에 좋은 것으로 나타난 만큼,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앞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비아그라를 복용하면 알츠하이머성 치매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23만 명의 보험청구 자료와 관련된 연구 결과를 보면 비아그라는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을 69% 감소시킨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미국 커먼웰스대 의대 내과 교수인 라케시 쿠크레자 박사는”비아그라가 혈관성 치매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것은 실데나필 성분이 효소 포스포디에스테라제5(PDE5)의 강력한 억제제이기 때문이다. 이는 강력한 혈관확장제 분자인 ‘사이클릭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cGMP)’를 분해한다”고 설명했다. 실데나필은 cGMP의 분해를 방지함으로써 혈관의 이완을 촉진하고 혈류를 개선한다. 따라서 실데나필 치료로 인한 뇌 혈류 개선과 혈관 저항 감소가 치매 위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 결과(Cerebrovascular Effects of Sildenafil in Small Vessel Disease: The OxHARP Trial)는 국제학술지 ≪순환 연구(Circulation Research)≫에 실렸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 의료 정보에 따르면 국내 치매 환자는 2024년 약 101만400명으로 추정된다. 치매 가운데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55~70%로 가장 많고, 이어 혈관성 치매(15~20%), 루이체 치매(10~25%), 전두측두엽 치매(2~5%), 알코올성 치매 및 기타 순이다.

닥터콘서트
    김영섭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1
    댓글 쓰기
    • hik*** 2024-06-19 11:00:55

      알찬 건강정보 입니다.감사합니다.

      답글0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