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서 우울할까, 우울해서 아플까”…알 방법 있나?

당신이 모르고 지나쳤던 우울증에 관한 이야기들

우울증은 단순히 지나가는 병으로만 치부해서는 심각해 질 수 있어 자세하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우울증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몰고 온다. 특히 일상 기능에서 저하를 가져오기 때문에 감정, 생각, 신체 상태, 그리고 행동 등에 변화를 일으키는 심각한 질환이다. 단순히 지나가는 병으로만 치부해서는 심각해 질 수 있어 우울증을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해 미국 건강전문매체 웹엠디(WebMD)가 소개하는 우울증에 관해 알기 어려웠던 내용들에 대해 소개한다.

우울증은 정신 질환인가?

우울증은 ‘치료 가능한’ 정신 질환이다. 개인의 나약함 때문에 걸린다고 생각해선 안되는 의학적인 상태다. 미국의 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에 따르면, 주요 우울증은 미국 18세 이상 인구의 약 6.7%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15%까지 이를 수 있다고도 설명한다. 확실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다른 정신 질환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생화학적,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우울증을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아이들도 우울증에 걸릴까?

아이들도 여러 요인으로 우울증에 걸릴 수 있다. 신체 건강의 변화, 생활 사건, 유전적 요인, 환경, 뇌의 화학적 불균형 등이 포함된다. 미국에서는 약 2.5%의 아이들이 우울증을 앓고 있으며, 청소년의 경우 4%에서 8%로 추정된다. 아이들의 우울증은 나이별로 흔히 나타나는 ‘정상적인’ 우울감이나 일상적인 감정과는 다르다.

예를 들어 우울증을 앓는 아이들은 행동의 변화가 지속적이고 정상적인 생활에 방해가 되며, 친구 관계, 학업, 특별한 관심사, 가족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강박 장애(OCD), 품행 장애(CD)와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수면 부족도 우울증을 유발할까?

수면 부족이 우울증을 유발하지는 않지만, 중요한 역할을 할 수는 있다. 다른 의학적 질환이나 개인 문제로 인한 수면 부족은 우울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만성적인 수면 부족은 우울증의 중요한 단서일 수 있다.

질병이 우울증을 유발하는지 우울증이 질병을 유발하는지 알 방법은?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병은 대개 주요, 만성 또는 말기 질환이다. 질병이 우울증을 유발하는 경우, 종종 장기적인 통증이나 신체적 장애가 있거나 갑작스러운 생활 변화가 있다. 우울증은 다른 방식으로 질병을 유발한다. 심리적 스트레스처럼 면역 체계를 약화시켜 감기나 독감에 더 자주 걸리게 할 수 있다. 특별한 원인 없는 통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우울증이 있으면 병에 걸렸을 때 증상이 더 오래 지속되고 악화될 수 있다.

왜 여성이 남성보다 우울증에 더 잘 걸릴까?

여성은 남성보다 두 배 더 자주 우울증에 걸린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여성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호르몬 변화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임신 중, 폐경기, 출산 후, 유산 후, 자궁 적출술 후 둥 우울증이 흔히 발생한다. 이러한 시기는 모두 여성의 호르몬이 크게 변동하는 시기이다. 또한 월경전 증후군(PMS)과 월경전 불쾌감 장애(PMDD)도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

우울증 환자가 자살을 시도하는가?

아니다. 우울증을 앓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살을 시도하지 않는다. 다만, 미국 정신건강협회에 따르면 자살한 사람의 30%~70%가 어떤 형태로든 우울증을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수치는 우울증이 의심되는 경우 자신이나 사랑하는 사람이 전문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우울증을 한 번 겪은 사람이 다시 겪을 가능성이 있는가?

주요 우울증을 한 번 겪은 사람은 미래에 비슷한 증상을 겪을 순 있지만, 우울증에서 회복된 모든 사람이 다시 겪는 것은 아니다. 때때로 우울증은 주요 생활 사건, 질병 또는 특정 시간과 장소의 여러 요인 조합에 의해 유발된다. 우울증은 명백한 ‘이유’ 없이도 발생할 수 있다. 적절한 기간 동안 올바른 치료를 받는 것이 회복과 미래 우울증 예방 또는 식별에 중요하다.

우울증은 얼마나 지속되는가?

우울증은 치료받지 않을 경우, 몇 달 또는 때때로 몇 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계절성 우울증(SAD)은 주로 겨울 동안 지속되며 봄과 여름 동안 호전된다. 양극성 장애는 ‘업’ (조증 기간)과 ‘다운’ (극심한 우울 기간)으로 특징된다. 이런 단계는 빠르게 또는 천천히 변할 수 있지만, 효과적인 치료법이 발견될 때까지 양극성 우울증은 지속될 수 있다.

닥터콘서트
    정희은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