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올림픽, 뎅기열 세계 전파의 온상 될 수 있어”

지난해 9월 파리에서 환자 발생, 뎅기열 북방한계선이 올라가

뎅기열은 흰줄숲모기(외줄모기)에 의해서도 전파될 수 있는데 이 모기들은 파리의 도시 환경에 완벽하게 적응했다. [사진= 클립아트코리아]
다음달 26일부터 8월 11일까지 열릴 파리올림픽이 뎅기열 세계적 확산의 온상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023년 9월 프랑스 파리에서 뎅기열 환자들이 여럿 발생했다. 이는 당시 최북단에서 발병 사례 중 하나였을 뿐 아니라 그들 환자 중 누구도 최근 여행을 다녀온 적이 없다는 점에서 이 같은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CNN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프랑스는 올림픽 기간 1000만 명 이상의 선수, 관중, 관계자 및 관광객들이 파리로 몰려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프랑스 정부는 뎅기열의 위험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파리에서는 수백 개 장소에서 정기적으로 뎅기열을 옮기는 모기의 존재가 확인됐다.

감염 역학에서 슈퍼 전파자라는 개념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이는 인구의 일부, 어쩌면 단 한 사람이 대부분의 감염 사례의 원흉이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역사적인 슈퍼 전파자로 유명한 인물은 ‘장티푸스 메리’로 불리는 메리 멜론인데 무증상 장티푸스 보균자였던 그녀는 아일랜드에서 미국으로 건너와 100명 이상의 사람들을 감염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네이처》에 게재된 한 연구에 따르면 중국 후난성 코로나19 사례의 85%가 약 15%의 사람들 에 의해 발생했다. 뎅기열과 관련해선 페루의 한 분석에 따르면 인간이 사용하는 공간의 8%가 발병 사례의 절반 이상을 초래했다(뎅기열은 뎅기열을 옮기는 숲모기(Aedes)속 모기에 물린 것만으로 다른 사람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걸릴 수 없다).

올림픽이 전염병의 위험 요소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은 숲모기속 모기에 의해 전염되는 또 다른 바이러스인 지카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연기될 뻔했지만 결국 신고된 사례가 없어 걱정을 잠재웠다.

도쿄 올림픽을 통한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두려움은 전염을 제한하기 위한 과감한 조치로 이어졌다. 결국 1년의 연기 뒤에 개최된 도쿄 올림픽에서는 올림픽 경기장 내에서는 감염자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지만, 일반인 사이에서는 감염자가 증가했다.

그렇다면 파리에서는 어떤 점이 다를까? 숲모기속 모기는 2016년보다 훨씬 더 확산됐고 같은 기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뎅기열 환자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2016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520만 건의 뎅기열 사례가 보고됐지만 2024년의 절반이 지난 지금, 이미 760만 건이 발생했다.

올림픽을 위해 200여 개국에서 프랑스에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국가 중 상당수는 이미 올해 뎅기열을 경험하고 있다.

파리 올림픽이 뎅기열 확산의 온상이 되려면 몇 가지 요인이 겹쳐야 한다. 모기가 많아야 하고, 감염에 취약하면서 이미 감염된 사람이 많아야 하고, 시간이 넉넉해야 하며. 모기에 물리는 사람이 많아야 한다.

뎅기열은 흰줄숲모기(외줄모기)에 의해서도 전파될 수 있는데 이 모기들은 파리의 도시 환경에 완벽하게 적응했다. 작은 용기에 아주 적은 양의 물만 있으면 알을 낳을 수 있다. 새벽과 해질녘에 주로 사람을 문다. 알 자체는 건조한 환경에서도 몇 달 동안 견딜 수 있다. 다시 한 번 물에 젖으면 알이 부화한다.

이러한 상황이 파리에 잠재적으로 위험한 이유는 이러한 흰줄숲모기 중 일부가 이미 어미로부터 물려받은 뎅기열을 가지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전염병이 시작되는 데 필요한 물린 횟수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올림픽 기간 내에 감염된 선수나 관중은 모기에 한 번 물리면 일주일 정도면 유행병의 씨앗을 뿌릴 수 있다. 암컷 모기는 한 번에 200개까지 알을 낳을 수 있다.

대부분의 뎅기열 환자는 무증상이다. 올림픽이 열리기 전이나 올림픽 기간 동안 감염된 사람들은 자신들이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모를 수도 있다. 그들은 바이러스를 집으로 가져가서 전혀 알지 못한 채 그곳에서 전염병을 퍼뜨릴 수도 있다. 사람들이 병에 걸리든 안 걸리든 간에 그들은 그 바이러스를 운반하고 있고 만일 그들이 숲모기속 모기에 물리면 전염시킬 수 있다.

올해 리우 카니발에서는 행사를 불과 며칠 앞두고 뎅기열이 발생해 공중보건 비상사태가 선포되기도 했지만 행사가 취소되지는 않았다. 사건 자체가 위험요소이기 때문에 파리에서는 공중보건 비상사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올림픽 기간 동안 파리에서 살거나, 일하거나, 방문하거나, 경쟁하거나 자원봉사를 하거나 혹은 단순 경유하는 사람은 알든 모르든 거대한 자연실험의 일부가 될 수밖에 없다.

    한건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