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대 교수들 “중증‧희귀환자 진료 계속…휴진 철회 열려있다”

14일 서울대 의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가 기자회견을 열었다. (왼쪽부터) 비대위 오승원 홍보팀장, 강희경 위원장, 하은진 교수 사진=임종언 기자

오는 17일 전면 휴진을 예고한 서울대의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가 중증·희귀질환 등 필수부서 진료에는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어 정부가 휴진일 전까지 의료계에 ‘신뢰와 존중’이 있는 행동을 보인다면 휴진을 철회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비대위는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성명문을 통해 “전체 휴진은 다른 병의원에서도 진료가 가능하거나 진료를 미뤄도 당분간 큰 영향을 받지 않으시는 환자들의 정규 외래 진료와 수술 중단을 뜻하는 것”이라며 “진료가 지금 반드시 필요한 중증‧희귀질환 환자들께는 휴진 동안에도 차질 없이 진료가 진행될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중증·희귀질환이 아닌 경증 수술·진료는 연기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비대위 오승원 홍보팀장은 “다음 주가 휴진 예정일이라 일부 교수들은 직접 환자에게 연락해 수술이나 진료 시간을 뒤로 미루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 위원장은 휴진 철회 가능성도 내비쳤다. 그는 “정부가 의료계에 존중과 신뢰있는 조치를 보여 주는 것이 먼저”라며 “그 노력이 충분하다면 구성원들과 휴진을 재논의하거나 아예 접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부 조치에 대해 비대위가 구체적으로 밝힌 바는 없다. 다만, 전공의에 대한 모든 법적 불이익 취소, 상시적 의정협의체 구성 등을 우회적으로 언급한 바 있다.

강 위원장은 불편을 겪을 환자에게 사과하면서 정부에게 소통을 제안했다. 그는 “국민들의 기대를 저버리고 휴진을 하는데 있어서는 죄송하다”면서도 “(휴진을) 밥그릇을 위해 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직역이든 최소한의 기본권은 존중받아야 한다”고 했다.

정부를 향해선 “1년짜리 의료개혁특위에서 현실성 없는 설익은 정책을 쏟아내는 대신, 효과와 부작용, 비용을 고려하며 건보 재정이 고갈되지 않게 결정해 달라”며 “지속 가능한 의료체계를 만들기 위해 현장을 아는 전문가와 차근차근 상의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요구했다.

    임종언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